d라이브러리
"고안"(으)로 총 1,2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과학의 힘] 베일에 싸여있던 물리량 양자 거리를 재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IBS)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팀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양자 거리’ 측정법을 세계 최초로 고안해냈다. 양자 거리는 두 양자 상태의 차이를 나타낸다. 두 양자 상태의 파동함수가 같으면 양자 거리가 0, 파동함수가 직교(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면 양자 거리가 1이다. 정보처리 과정에서 양자 거리가 ...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데이비드 애킨 교수는 우주인들의 움직임을 편하게 해주는 ‘바이오봇(BioBot)’을 고안했어요. 달에 착륙한 아폴로 계획의 우주인들이 어색하게 걷는 모습을 본 적 있죠? 그들은 지구 무게로 96kg에 달하는 우주복 ‘A7L-B’를 입고 있었어요. 무게의 63%는 등에 부착된 ‘휴대용 생명 유지 장치’가 ... ...
- [수학뉴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가 수학 전공자라고?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윌슨 교수는 여러 주파수를 동시에 경매하는 ‘동시 다중 라운드 경매’ 방식을 고안했습니다. 기존 경매 방식에서 판매자와 구매자가 보유한 정보가 서로 달라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입찰 과정을 도입한 방식이죠. 경쟁자가 상대방의 입찰가에 대한 정보를 추정할 수 있어 정보 ... ...
- [특집] 모든 물체는 종이접기로 만들 수 있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정사각형에 가까운 종이를 이용해서 더 단단한 구조를 만들 수 있는 종이접기 방법을 고안하고자 했습니다. 먼저 만들고 싶은 3차원 물체의 표면을 삼각형으로 분할했습니다. 물체의 곡선까지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삼각형으로 나눈 뒤, 한 장의 종이 위에 이 삼각형들을 적절히 배치했죠. ... ...
- [퍼즐라이프] 무엇이 다를까? 칠교와 도형분할 역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생각해보세요. 칠교판 역설과 비슷한 것으로, 19세기에 활동한 유희 수학자 샘 로이드가 고안한 ‘샘 로이드의 역설적 분할’이 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정사각형을 분할한 4개의 조각을 배치만 다르게 했을 뿐인데 면적이 늘었다 줄었다 합니다. 이런 종류를 ‘도형 분할 역설’이라고 한답니다. ... ...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020년 노벨화학상은 박테리아(세균)의 면역시스템인 ‘크리스퍼’로 유전자 편집 기술을 고안한 제니퍼 다우드나(56)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분자세포생물학 및 화학과 교수와 에마뉘엘 샤르팡티에(52)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병원체연구소 교수에게 돌아갔다. 3세대 유전자 가위라고도 ...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금속의 반응성을 이용해 온실 기체인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장치를 고안한 프로젝트가 있습니다.아이디어를 실제 프로토타입으로 완성하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모형을 제작하기 전 아이디어 발표회를 통해 과학적 오류나 작동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한계점을 찾아보고, ...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52)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가 2011년 유전자를 자르고 붙일 수 있는 개념을 고안했고, 다른 한 명인 제니퍼 다우드나(56)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와 이를 만드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크리스퍼-캐스(CRISPR-Cas)9’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한 시점이 2012년이다.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체내에서 만들어진 에너지를 추출해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는 방법은 아직 고안되지 않았지만, 사람의 활동에서 비롯된 움직임이나 열을 전기로 변환해 사용하는 방법은 계속 개발되고 있다. 이를 인체 에너지 하베스팅이라고 한다.에너지 하베스팅의 대표적인 도구는 압력을 전기로 변환시켜주는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얻을 수 있는 셈이다. 연구단은 현미경의 관측 해상도를 원자 수준으로 높이는 방법도 고안해냈다. 비결은 탄소로 이뤄진 ‘그래핀(Graphene)’. 그래핀은 두께가 1nm 수준으로 매우 얇다. 연구단은 이런 그래핀 사이에 액체 용액에 담긴 나노입자를 가두면 나노입자를 원자 수준으로 촬영할 수 있다는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