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작업
사역
취업
과업
직업
야간근무
d라이브러리
"
근무
"(으)로 총 93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유학일기] 식사부터 파티까지 똑똑한 기숙사 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이번 4학년 1학기에 처음으로 조교를 하게 됐다. 과목에 따라 일주일에 9시간, 또는 12시간
근무
한다. 시급은 연구실 프로그래머와 비슷하다. 조교의 장점은 일하면서 내가 공부했던 내용을 다시 한 번 익힐 수 있어 스스로에게도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이처럼 가능한 기숙사 생활을 하고, 학업에 ... ...
[매스미디어] 테슬라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삶은 어땠을까요? 1880년 후반, 전기의 아버지로 유명한 토마스 에디슨이 설립한 회사에
근무
하던 한 청년이 에디슨에게 맞섭니다. ‘교류 전기 시스템이 에디슨의 직류 전기 시스템보다 경제적’이라고 주장한 겁니다. 당대 최고의 발명가이자, 사업가인 에디슨의 발명품에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 ...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2008부터 2013년까지
근무
했다. 필자의 연구 주제는 ‘miRNA’와 ‘siRNA’ 등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RNA였다.2008년 다우드나 교수의 연구실에서 RNA 연구를 시작할 당시, 다우드나 교수는 이미 크리스퍼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전자기기 작동꿈의 기업-2018년 SF어워드-만화/웹툰 우수상 2100년 어느 날. 오전 9시
근무
시간을 알리는 안내방송이 울리자 꿈사원들이 하나둘 각자의 캡슐에 드러눕는다. 이내 수면을 유도하는 호흡기가 작동하고 꿈사원들은 스르르 잠이 든다. 렘수면에 돌입한 꿈사원들의 몸에서 만들어진 ... ...
[기획] 사건1. 억울한 간호사 루시아 더베르크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값은 서로 독립적인 사건이 아니므로 곱하면 안 돼요. 만약 어떤 간호사가 한 병원에서
근무
하는 동안 실수가 일어날 p값이 일 때 이 간호사가 2개 병원에서 일했다면 여전히 각각의 p값은 에 가까울 거예요. 같은 간호사니까요. 그런데 2개 병원에서 실수할 확률을 구한다고 ×로 계산하면 250번에 1번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바이러스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워싱턴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했고, 2000년부터 약 10년간 충북대에서 바이러스학 연구실을 운영했다. 현재 미국 유타주립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체신경계를 감염시키는 일본뇌염 바이러스 및 지카 바이러스의 감염 기작을 연구하고 있다. ...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곳에 있다고 느끼게 해 주는 기술을 ‘텔레프레젠스’라고 해요. 온라인 개학이나 재택
근무
등으로 많이 쓰인 화상회의 앱 등이 텔레프레젠스 기술을 활용한 예지요. 지난해 3월 통신사 KT는 한국-미국간 ‘홀로그램 텔레프레젠스’ 기술을 선보였어요. 2009년 사망한 세계적인 가수 마이클 잭슨의 ... ...
[2교시 실험편] 즐거운 실험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다양한 교과를 다룬답니다.아꿈선 활동을 시작한 건 전남 완도의 금일도라는 섬마을에서
근무
한 경험 때문이에요. 금일도에는 학교 외엔 따로 학습을 도와줄 곳이 없었어요. 더 공부하고 싶어도 방법이 없던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었어요. 언제 어디서나 공부할 수 있도록 말이에요.아꿈선 ... ...
추석 모듬전, 고소한 맛의 비결은?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자리를 옮겨 과학기술 정책 기획을 담당했다.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연구관으로
근무
하며 일반 대중들에게 과학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튀김의 발견’ 옮긴 책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 읽기’가 있다. doowon72@gmail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흔히 알려진 이중나선 형태의 DNA는 1953년 영국 케임브리지대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함께
근무
하던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처음 제안했다. 이것을 B형 DNA(B-DNA)라고 부른다. B-DNA는 두 가닥의 사슬이 반시계방향(오른손 감기)으로 꼬인 나선형으로, 각 사슬에 존재하는 염기들이 수소결합으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