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하"(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계속 감소한다는 사실을 바로 유도할 수 있게 되었지요. 그 후에도 허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이론이 조합수학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상상하며 좋은 추측을 만들고 증명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다른 연구자들을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 ...
- 한국과 인연이 깊은 수학자부터 폴리매스 수학자까지! 별별 필즈상 수상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동방학연구소 교수는 러시아 최고의 한국어 권위자입니다. 그는 러시아어로 한국어를 표기하는 표기법인 ‘콘체비치 체계’를 고안하고, 최초로 훈민정음 해례본을 러시아어로 번역했습니다. 레프 콘체비치 교수는 이 공로로 2012년에 한국 정부로부터 ‘은관문화훈장’을 받았습니다. 막심 ... ...
- [필즈상 인터뷰 ➌]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 “모든 큰 돌파구는 그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한 후에 나와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그 친구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에 행운을 빌고, 포기하지 마세요! 종종 오랜 시간을 투자했지만, 진전하지 못하면 좌절하게 되는데요. 수학에서는 여러분의 도전을 고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답니다. 모든 큰 돌파구는 그 문제에 대해 오랫동안 생각한 후에 ... ...
-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디오판토스 기하학은 계수가 유리수인 다항방정식인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해를 기하학을 이용해 구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이후 메이저 교수는 이 분야에서 수많은 업적을 남깁니다. 김완수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메이저 교수님은 어떤 한 문제만 풀 수 있는 연구가 아니라 수학자들이 다른 ... ...
- [필즈상 수상 소감] “낯설고 무게감 느껴져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과거 인터뷰마다 필즈상을 ‘아주 높은 확률’로 받지 못할 거라고 이야기하셨는데요. 그 필즈상을 받으셨어요. 소감이 어떠신가요? A. 수상 소식을 듣자마자 가장 먼저 ‘잘 됐다! 부모님이 좋아하시겠다’고 생각했어요. 좋아하는 일을 하며 의미 있는 상을 받아 기쁘고, 분수에 넘치는 일이 ... ...
-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사실 2009년에 미시간대 박사과정에 지원했었는데 떨어졌거든요. 이 사실을 이야기하니까 포민 교수가 “내가 너를 떨어뜨렸을 리가 없다. 나는 글 쓰는 것만 봐도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단번에 알아차린다”며 고개를 저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포민 교수가 입학 서류를 담당했던 게 ... ...
- [스승이 말하는 허준이 교수] 겸손하고 따뜻하지만, 연구 앞에서는 밤잠 설치는 완벽주의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밤잠 설치는 완벽주의자Part2.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Part3.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Part4.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조합론, 매트로이드)에서 얼음(호지-리만 관계)을 발견한 것인데, 이는 화성에도 생명체(기하학 구조)가 존재 가능함을 암시합니다. 도식으로 보는 허준이 교수의 연구 성과 아래는 허 교수의 업적을 설명하는 도식입니다. 허 교수는 매트로이드로부터 사영다양체를 만들었고, 매트로이드의 특성 ...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것만 이야기할게요. 필즈상으로 삶이 많이 바뀔 거예요. 수학자들과 더 많이 이야기하게 되고, 출장도 많이 갈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들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계기가 될 수 있어서 기대됩니다 ... ...
- [조합론과 만나다] “수학자에게 공동연구는 필수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Q. 2018년엔 2명의 수학자와 함께 리드의 추측의 확장판인 ‘로타의 추측’까지 해결하셨어요. A. 리드의 추측을 해결한 제 논문을 보고 당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교수가 먼저 이메일을 보내왔어요. 제가 리드의 추측을 해결한 방법을 이용하면 다른 추측도 해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