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열"(으)로 총 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문제를 소개합니다. 1. 우연히 종이 두 장을 발견했다. 한 장에는 알파벳이 규칙 없이 나열돼 있고, 크기가 같은 다른 한 장에는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설마 암호문? 두 장을 겹쳐서 보는 것까지는 알겠는데, 어떻게 해야 숨은 메시지를 알 수 있는지 오리무중이다. 2. 찾은 메시지의 내용을 따라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가르쳐줄 때는 말로 하면 못 알아들을 테니 이런 기호를 입력하고 기호를 순서에 맞게 나열하는 규칙을 입력하면 되지요. 힐베르트는 참이라고 밝혀진 명제를 기호로 바꾸고 규칙을 잘 만들면 수학자가 증명을 통해 새로운 명제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잘 표현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기호와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추천장을 썼다. 그는 스포르차를 설득하기 위해 자신이 공병기술에 능한 이유 10가지를 나열하며, 맨 마지막에 예술적 재능을 딱 한 줄로 지나가듯 언급했다. “저는 대리석, 청동, 진흙으로 조각상을 만들 수 있으며, 그림 실력도 뛰어납니다.” 르네상스 시대 최고 미술가의 이력서가 이토록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서류는 자기소개서다. 신 입학처장은 “단순한 에피소드의 나열 만으로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다”며 “눈길을 끄는 대목으로 시작해 논리적으로 내용을 풀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자기소개서를 통해 논리적인 글쓰기 능력을 동시에 평가받기 때문이다. 2 ...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Ru), 인(P), 아이오딘(I), 칼슘(Ca), 소듐(Na)이 있습니다. 화학 원소를 성질에 따라 분류하고 나열한 표인 ‘주기율표’에서 이 원소들을 찾을 수 있어요. 차원을 넘어선 사랑스러움! 러블리즈의 ‘WoW!’이름처럼 사랑스러운 8인조 그룹 ‘러블리즈’가 부른 ‘WoW!’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사랑에 빠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모여 있는 혹스 유전자들을 가장 앞에 있는 유전자부터 가장 끝에 있는 유전자까지 쭉 나열하면, 앞에 있는 유전자부터 순서대로 머리, 목, 가슴, 꼬리 부분의 구조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한다는 뜻입니다(아래 그림). 염색체 상의 유전자 위치와 머리-꼬리 축에서 기능을 할 위치가 서로 대응된다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리고 그런 습관을 기를 수 있는 실용서를 집필했다. 책에는 물리나 천문학적 지식을 나열하는 대신, ‘봉투 뒷면 계산’을 통해 숫자 어림하기, 그래프를 올바르게 읽고 활용하는 법, 확률을 계산하는 간단한 규칙, 통계의 거짓말에 속지 않는 방법,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혼동하지 않기 등 올바른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나왔다. 아이디어의 이름은 ‘데데킨트의 절단’. 그는 ‘유리수 전체를 크기 순서대로 나열한 수직선’을 자르는 사고 실험을 했다. 잘린 수직선 두 개 가운데 작은 수가 있는 쪽을 집합 A, 큰 수가 있는 쪽을 집합 B라고 하면 아래와 같이 네 가지 경우의 수를 생각할 수 있다. 절단 결과, ➌은 ... ...
- 나도 모르게 왕따 가해자?! 왕따가 생기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벡터로 만들었습니다. i번째 사람을 좋아하면 1, 싫어하면 -1, 자기 자신은 0으로 정해 쭉 나열한 겁니다. 무리는 한 사람을 중심으로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과 뭉쳐 소속감을 느끼고 싶을 때 생긴다고 가정했습니다. 즉 소속감을 무리를 만드는 지표로 봤지요. 예를 들어 다니엘과 지훈이 서로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리고 DNA 가닥의 염기 배열 순서가 바로 유전 정보가 됩니다.이때 염기를 순서대로 나열해 놓은 것을 염기서열이라고 합니다. 아무렇게나 뽑은 두 사람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해 보면 평균적으로 1000개 중 한 개 정도 차이가 있습니다. 침팬지랑 사람은 1000개 중 적어도 20개가 다르고요. 유전학과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