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빅잼] 영화 ‘크리에이터’ 스스로 생각하는 AI는 인간적인가, 인간의 적인가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새로운 AI 시스템 개발에 조금씩 가까워지고 있다는 입장과, 단순히 회사의 홍보성 논문일 뿐이라는 입장으로 말입니다. 후자에 속하는 마르텐 삽 미국 카네기멜론대 언어기술연구소 교수는 뉴욕타임즈 기사에서 “주관적이고 비공식적이며 엄격한 과학적 평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 노오란 마리골드 꽃이 피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산성 흙 줄까 염기성 흙 줄까 무언가 이상하다는 것을 느낀 나는 다시 과거 논문을 뒤적이기 시작했다. 잎맥을 제외한 잎 전체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은 아무리 봐도 철분 결핍 증상이었다. 그런데 화성 토양에는 철분이 많다. 토양에서 철을 추출해 자원으로 쓰려고 엔지니어가 파견됐을 정도다. ... ...
- 전 세계 수학 국가대표 모인 IMO 2023 현장, 준비부터 채점까지 토론의 장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문제가 적힌 종이를 건네고 침 튀기며 문제를 설명합니다. 여럿이 모여 태블릿으로 수학 논문을 띄워 놓고 열띠게 토론하거나 한 학생이 3시간 동안 탁자에 앉아 수학 문제를 풉니다. 수학에 진심인 20세 미만 학생이 가득한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현장인데요. 일본 도쿄 근교에 있는 지바에서 ... ...
- Part2. 외계행성의 숨결을 맡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모습이 실렸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관측 자료로 외계행성 WASP-39b를 연구한 논문이 5편이나 실렸기 때문이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외계행성 연구를 어떻게 바꾸고 있을까. 파장 분석으로 대기 조성 알아내 WASP-39b는 처녀자리 방향으로 약 700광년 떨어져 있는 외계행성이다. 토성과 비슷한 ... ...
- 최상위 포식자 ‘메가로돈’ 영화와 실제 화석은 얼마나 비슷할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복원시켰습니다.doi:10.1126/sciadv.abm9424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메가로돈의 전체 길이는 14~18m로, 아파트 5~6층 높이에 맞먹는 크기입니다. 전작에서 등장한 18m 크기의 메가로돈은 꽤 설득력이 있는 캐릭터였던 거죠. 연구진의 추정에 따르면 메가로돈의 지느러미 ... ...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전류가 흐르는 종이를 만드는 전도성 고분자 합성 실험이 단연 기억에 남습니다. 2014년에 논문으로 이 실험을 접하고 학교 현장에 도입하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학교 자체적으로 과학 교과에서 신소재 단원을 편제해 수업할 수 있다는 점도 도움이 됐습니다. 폴리아닐린(Polyaniline)을 종이에 ... ...
- IMO 대표를 수학자로 이끈 결정적 순간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문제를 풀면서 수학은 본질만 알면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는데, 10여 년 후 3번째 논문을 쓸 때도 수학은 본질만 알면 된다는 같은 경험을 했어요. 2003년 IMO 2번 문제는 ‘모든 자연수는 1 이상이다’라는 사실 하나로 푸는 문제였어요. IMO 대표가 되려고 페르마의 소정리부터 시작해서 정말 ... ...
- [러셀탐구생활] 제 9장 어긋난 스승과 제자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비트겐슈타인이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 자격을 심사받을 때 가 박사 논문으로 제출되었는데, 당시 심사위원이었던 러셀은 마지못해 심사에 응하며 “내 생에 이렇게 말도 안 되는 일을 해본 적이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 생생한 삶에 진리가 있다 ◆ 비트겐슈타인의 ... ...
- [가상인터뷰] 원시 포유류, 몸집보다 더 큰 공룡 잡아먹었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발견되지 않았어요. 레페노마무스가 공룡을 직접 사냥 중이었던 거죠. 캐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포유류가 거의 다 자란 공룡에게도 위협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화석”이라고 했어요. 그러니 이제부턴 저에게 말 조심하셔야겠죠 ... ...
-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액체일까, 고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하지만, 사람들에게 유변학의 시각으로 세상을 새롭게 보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 논문이 아니었다면 누가 고양이 액체설을 과학의 관점에서 검증했을까. 넘치는 재기와 세상을 새롭게 볼 기회를 갖게 해준 공로로 파르딘 연구원은 2017년 이그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결국 이그노벨상 위원회도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