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입
난입
돌진
d라이브러리
"
돌입
"(으)로 총 386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운석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총 5000kg의 파편을 찾아내 조사한 결과다. 응집력이 약해져 있던 탓에 유성체는 대기권
돌입
당시의 압력을 견딜 수가 없었다.120만 년 태양계 떠돌다 지구와 충돌이 유성체는 지구위협천체(PHO)로 분류돼 있는 2km 크기 소행성 86039(1999NC43)와 ‘형제’라는 사실이 새롭게 알려졌다. 응집력과 조성, 진행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밝힐 수 있다.초대칭이론이 사실인지 여부를 밝히면 물리학은 전혀 새로운 세계에
돌입
한다. 우선 초대칭이론은 중력을 설명할 수 있다. 표준모형에는 없는 ‘중력자’라는 입자가 있어서 중력을 주고 받게 해주기 때문이다. 또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보다 5배나 많지만 전혀 관측이 되지 않는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창업하는 나라로 천 교수는 2009년 말 '천랩'을 창업하고 2010년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
했다. 교수가 된 지 10년이 되는 해였다. “한 분야를 오래 해서 나름 인정을 받았어요. 세계적으로 이름도 조금 알려져 있었죠(천 교수는 세균분류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학자다. 국제세균분류학회지의 부편집인을 ... ...
다시 별의 낭만을 꿈꾸며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쌍안경으로 본다. 복잡한 공간은 잊는다. 그 뒤 별자리 이름을 배우고, 그 다음 비로소
돌입
하는 게 천구 개념을 이해하는 일이다. 허공의 3차원 좌표의 중심에 지구가 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면 별 관측을 위한 준비는 반이 끝난다.이제 우리가 사는 북반구의 별자리부터 차례로 보는 일만 남았다. ... ...
네안데르탈 학당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똑같았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은 정말 말을 했던 것일까요.학자들은 다른 연구에
돌입
했습니다. 현생인류는 대뇌가 좌우 비대칭입니다. 이것은 언어가 특히 좌뇌와 관련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좌우 비대칭 뇌는 몸의 좌우 중 자주 쓰는 쪽을 만듭니다. 그래서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처럼 ... ...
류현진의 느린 체인지업에 왜 타자는 헛스윙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투수가 공을 던진 뒤 약 0.225초에 스윙여부를 판단하고 0.15초 즈음에 실제 타격 동작에
돌입
한다. 이후 날아오는 공을 보며 동작이나 타이밍을 수정하기는 아주 힘들다. 대개의 타자들은 가장 치기 힘든 공인 직구에 맞춰 타격을 준비하는데, 그 공보다 속도가 현저히 낮은 공이 오면 바보처럼 ... ...
생물계의 팔방미인 출동이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주변 온도가 너무 높으면 두 번째 단계 때 ‘다우어 유충’이라는 특별한 상태로
돌입
해요. 이 상태가 되면 네 달 정도 아무것도 먹지 않고 버틸 수 있지요. 연세대학교 백융기 교수팀은 다우어 유충이 내뿜는 페로몬 ‘다우몬’이 노화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반대로 날씨가 너무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두뇌는 놀기만 하는 걸까요.아닙니다. 두뇌는 뇌세포를 서로 연결하는 새로운 작업에
돌입
합니다. 뇌세포의 연결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생각해 볼까요. 뇌세포가 2개 있으면 연결선은 하나입니다. 뇌세포 3개의 연결선은 3개입니다. 그런데 뇌세포가 4개로 늘면 연결할 수 있는 선은 6개로 껑충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수밖에 없다는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IPSc의 경우 올해 혹은 내년에 연구 목적의 임상에
돌입
한다는 계획이 있지만, 보편적인 임상까지는 시간이 훨씬 더 걸린다. 이 때문에 문신용 서울대 의대 교수는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들어도 이식하는 방법을 몰라 100년 안에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못했기 때문이다. 관측은 물리학에서 ‘이제부터 자료를 모아 특성을 밝히는 단계에
돌입
했다’는 뜻이다. 완전한 발견은 아닌 것이다. 작년 상황은 ‘이론물리학에서 오래 전부터 예측해 온 입자가 있는데, 적절한 질량을 지니는 미지의 입자를 새로 발견했다. 100% 확신할 수는 없지만, 정황상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