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쪽"(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라쿤 VS 너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것처럼, 너구리의 영어 이름에는 라쿤이 붙어 있지요.너구리는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쪽에 많이 살아요. 나무 열매부터 작은 동물들까지 다양한 먹이를 먹지요. 손바닥 크기의 물고기를 그 자리에서 8~10마리나 먹을 정도로 많이 먹는답니다. 그래서인지 너구리는 통통해서 움직임이 느려요. 이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반이 침하하면서 2014년 조사 때보다 북쪽으로 2cm 가량 더 기울었다. 정상부의 정자석 남동쪽 모서리도 서쪽으로 5cm, 북쪽으로 3.8cm 움직였다. 하지만 지진으로 고층 건물 천정이 무너지고 벽이 균열되는 상황에서 문화재의 변형이 의외로 크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첨성대를 오랫동안 ...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역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답니다.그런데 이번 지진 때문에 갈라진 후타가와 단층대의 동쪽 끝이 아소산의 칼데라까지 이어졌어요. 이 때문에 아소산이 영향을 받지 않을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실제로 4월 16일 아침 8시 반부터 약 10시간 동안 아소산 중앙 분화구가 분화해 많은 사람을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태평양판과 그 가장자리의 작은 판들이 다른 판과 부딪히고 있는 지역이에요. 아시아의 동쪽과 아메리카의 서쪽을 따라 둥그런 모양을 이루고 있지요.이 지역에 특히 지진과 화산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태평양판이 매우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이에요. 보통 다른 판들은 1년에 5~6cm씩 움직이는 반면, ... ...
- [과학뉴스] 러시아 산불이 한국서 초미세먼지 유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대전에서 채집한 초미세먼지 성분을 분석했다.확인 결과 산불이 난 지역의 서쪽과 동쪽에는 각각 고기압과 저기압이 배치돼 연기가 남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여건이었다. 또 대전에서 검출한 초미세먼지 성분에는 산림 연소 시 발생하는 ‘레보글루코산’이 평소보다 4~5배 많았다.정 연구원은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새로운 지각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가켈 해령은 성장속도가 서편의 경우 1년에 1.6cm 미만, 동쪽의 경우 1년에 0.6cm에 불과하다. 지판을 잡아당겨 해저를 확장시키는 해구, 즉 섭입대가 북극에는 없기 때문이다. 학계에서는 확장 속도가 1년에 1.2cm 이하인 가켈 해령을 ‘초저속 확장 중앙 해령’으로 ...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인근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를 떠올리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동쪽의 아담한 도시, 브룩에 위치한 PSI에서도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진 가속기를 3대나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전자를 가속시키는 3세대 원형 가속기 ‘SLS(Swiss Light Source)’와 뮤온을 가속 시키는 ‘SμS(Swiss Muon Sourc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관측 시설이 설치된 곳은 해발 1915m 천왕봉을 기준으로 남서쪽의 제석봉과 북동쪽의 중봉, 그리고 산 하부 중산리 계곡 인근이다. 지리산은 육지에 상륙한 태풍이 처음 만나는 고산지대로, 태풍이 지나가면서 많은 양의 비를 뿌린다. 이 때문에 연구팀은 태풍이 천왕봉을 지나기 전과 후의 강우량 ...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2007년 페루 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 로돌포 살라스-지스몬디와 연구팀은 페루의 동쪽에 위치한 마이오세 지층에서 네 종류의 악어, 푸루스사우루스, 그리포수쿠스, 발라네로두스, 그리고 모우라수쿠스를 발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네 종류의 악어는 생태적 지위를 분할했다. 강한 턱을 가진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예는 마다가스카르의 후기 백악기 마에바라노층에서 발견된 시모수쿠스다.아프리카 남동쪽에 위치한 마다가스카르 섬은 백악기 때도 지금처럼 고립된 곳이었다. 당시에는 모든 대륙에서 초식공룡인 갑옷공룡이 존재했는데, 이들은 키가 작은 식물을 뜯어 먹었다. 하지만 마다가스카르는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