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두개골"(으)로 총 38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레코드’에 발표한 미국 오하이오대 의대 로렌스 위트머 교수팀의 CT(컴퓨터단층촬영) 두개골 분석 결과는 티라노사우루스가 시체를 찾는 데 유리한 예민한 후각을 가졌을 것을 시사했다. 이런 증거를 바탕으로 미국 로키산맥박물관의 잭 호너 큐레이터는 티렉스가 사냥꾼이 아니라 시체 청소부였을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이상한 특징이 있다. 대부분 이빨 대신 딱딱한 부리만 있었던 것이다. 이빨 없는 두개골 때문에 처음에는 식성을 놓고 고생물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했다. 그러던 중 위석이 발견돼 초식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중생대보다 약간 싸늘해진 현재 지구에 가장 널리 퍼진 공룡은 작은 수각류인 ... ...
- 밍크고래, 바다로 떠난 사연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생긴 동물에서 진화했다고 추정된다. 파키스탄에서 개 같이 생긴 화석이 발견됐는데, 두개골에 고래에만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던 것이다. 새로운 형태로 진화할 때마다 그 동물의 게놈이 변했다. 다리가 사라진 것, 털이 없어진 것도 진화의 어느 시점에서 일어난 자연선택이다.그리고 그에 맞는 ...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위생관리로 면역력이 떨어졌다.커다란 두뇌 지능이 더욱 발달해 상상 속 외계인처럼 두개골도 커졌다. 하지만 몇몇 전문가들은 네안데르탈인의 두뇌 크기(약 1200~1600㏄)가 현생인류의 것(1500~1600㏄)과 비슷했다는 근거로 이 주장에 반대하기도 한다. 미래 인류도 우리와 두뇌 크기가 비슷한 대신 훨씬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귀에 더 가까워졌다. 파충류의 아래턱이 직선이라면 포유류의 아래턱은 휘어 있다. 턱이 두개골에 상당 부분 융합되면서 포유류는 파충류처럼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하게 됐다. 하지만 뱀처럼 자기 몸통보다 굵은 먹이는 못 먹어도, 포유류는 다양하게 생긴 이빨로 잘근잘근 씹어서 잘 먹고 잘 살고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일에 능숙해진 사람들이 생겼을 것이다. 선사시대의 유골이나 미라 등을 살펴보면 두개골에 구멍을 뚫는다든지(천두술), 아니면 외과 처치를 받은 흔적이 남아 있다. 음경의 포피를 자르는 할례술 역시 외과술의 일종이다.3800년 전 최초의 외과의사 기록기록에 남아있는 최초의 외과의사는 기원전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소통하는 ‘머리에 구멍 난 개구리’도 있다. 주변에 시끄러운 폭포가 있어 귀가 두개골 쪽으로 들어가 머리가 구멍 난 것처럼 보인다. 개나 고양이, 쥐도 초음파를 내는 경우가 있다.소통의 수단, 언어동물언어, 사람언어와 무엇이 다를까?앞서 살펴본 동물의 몸짓하기, 소리 내기, 냄새 맡기 같은 ...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완전히 성장했을 때의 80%에 달한다. 따라서 젖니가 모두 영구치로 바뀌기 전까지 두개골은 조금만 성장하면 된다.만약 파충류처럼 교차적인 방식으로 이빨이 계속 바뀌면 윗니와 아랫니가 정확히 맞물리지 않게 된다. 그래서 포유류는 한 벌 단위, 즉 위아래가 쌍으로 교체되는 방식으로 진화했다. ... ...
-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다.연구팀은 이 화석의 특징을 연구한 뒤, 기존에 같은 지역에서 발굴했던 4구의 다른 두개골 화석과 비교했다. 이들은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눈두덩이가 솟은 모습 등 구체적인 형태가 화석마다 눈에 띄게 달랐다.하지만 튀어나온 턱이나 큰 얼굴, 작은 두뇌 등 중요한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새로운 유인원이 나타났다. 사하라 남부의 차드에서 나온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의 두개골은 침팬지나 고릴라와는 구분되는 색다른 특성을 여럿 보였다. 인간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진화의 물줄기였다.인류는 결코 영장류 진화의 종착역이 아니었다. 아시아에서는 여전히 구세대 원숭이들이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