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리
집단
모임
그룹
군체
군
무더기
d라이브러리
"
떼
"(으)로 총 50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추억으로 남았다.이곳에는 크고 작은 70여 개의 섬이 각각 독특한 환경을 자랑한다. 거북
떼
가 알을 낳으러 온다는 뜻의 카이 섬은 산호 가루로 이뤄진 하얀 모래가 햇볕에 반짝였다. 탐사대원들은 자갈이 갑자기 다다다 움직이는 바람에 깜짝 놀랐다. 자세히 보니 해변 위로 수많은 코코넛게와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핵분열이 기하급수적으로 일어난다. 만약 임계질량 이하의 우라늄 두 덩이를 따로
떼
두었다가 합치면, 임계질량에 도달해 폭탄을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포신형폭탄은 폭발 직전에 화약을 터뜨려 두 덩이를 합친다. 별도의 구조가 필요 없기 때문에 설계가 아주 쉽고 실패할 확률도 매우 ... ...
물고기
떼
를 흉내 내는 수학모형… 현재 수준은?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실험 참가자들은 실제 물고기
떼
를 쉽게 구분했습니다. 그리고 참가자들은 가상 물고기
떼
가 실제보다 부자연스럽게 움직인다고 말했습니다. 현재의 기술에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다는 의미입니다.연구 결과는 영국 왕립학회 로얄소사이어티에서 발행하는 전문지 ‘생물학 레터스’ 12월 10일자에 ... ...
[화보] 하늘에서 내려다본 세상 드론스타그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나타났어요! 남태평양 가운데 있는 타히티 섬에서 여유롭게스노클링을 하던 중에 상어
떼
를 만난 거예요. 물 밖에서 드론을 날리고 있던 친구가 이때를 놓치지 않고 사진을 찍었답니다.월리를 찾아라! : 지중해 위에 있는 섬나라 키프로스에서는 매년 ‘리마솔 카니발’이 열려요. 카니발은 ... ...
새끼 남극물개가 엄마를 찾는 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태어나면 4개월 동안 해안가에서 무리를 이루고 살아요. 그 동안 새끼 물개는 젖을
떼
기도 하고, 수영하는 법을 배우기도 하죠. 이때 수백 마리의 남극물개가 해안가에 머물기 때문에 그 중에서 어미와 새끼 물개들은 서로를 잘 찾아야 해요. 바로 이때 소리를 이용한답니다.최근 파리 11대학의 티에리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강하게 일어나는데, 따뜻한 바다를 지나면서 수증기를 잔뜩 빨아들여 커다란 구름
떼
를 이루지요. 이렇게 커진 태풍은 1초에 17m를 이동할 만큼 빠른 속도로 부는 바람과 세차게 내리는 비를 동반한답니다. 우리나라에는 주로 7~9월에 태풍이 찾아와요 ... ...
하늘에서 후두둑 거미 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호주 골번 지역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남긴 글이에요. 이날 골번 지역의 하늘이 거미
떼
로 뒤덮였거든요. 2012년, 호주 와가와가 지역에서도 이와 비슷한 일이 일어난 적이 있어요. 이런 일은 도대체 왜 일어나는 걸까요?대부분의 거미는 하늘을 날 수 있다!호주의 거미들만 하늘을 둥둥 떠다니는 건 ... ...
[가상인터뷰] 사막의 더위를 이기는 사하라 은색개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약 50cm 정도를 이동할 수 있죠. 최고 속도로 걸어다닐 땐 앞 다리 2개는 뜨거운 땅에서
떼
고 뒷다리 4개만 이용해서 걸을 수도 있답니다.사막에선 길을 잃기 쉬울 것 같은데….맞아요. 사막에서는 방향을 가늠하기가 어렵죠.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우린 해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면 방향을 알 수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델러웨어 만은 남아메리카에서 북극으로 이동하는 동안 42만~100만 마리의 도요새와 물
떼
새 등이 잠시 쉬어가는 휴식처예요. 그런데 공교롭게도 철새들이 쉬어가는 2~3주가 바로 투구게들의 짝짓기 시기와 딱 맞아떨어져요. 먼 거리를 날아온 새들에겐 해안가에 널려 있는 투구게의 알이 엄청난 ... ...
드론 미래를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비행을 뽐내기도 해요.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공현철 박사 연구팀은 벌이나 새처럼
떼
를 지어 나는 군집 드론 비행 기술을 개발했어요. 컴퓨터 프로그램에 드론 20대의 경로를 미리 입력해 두면 드론들이 경로에 따라 정확하게 비행해요. 그리고 드론이 비행하는 무대 위에 설치된 적외선 카메라가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