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레
d라이브러리
"
마차
"(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나타난 쌍둥이자리의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남쪽에서 여전히 뚜렷한 모습을 보이며, 또한
마차
부자리의 카펠라는 북동쪽 높은 곳에서 빛나고 있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사자자리의 가장 밝은 별 레굴루스는 남쪽 하늘로 높이 올라오기 시작한다.이제 포근해지기 시작한 날씨를 느끼며 저녁 하늘 별들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하나로 원시적인 열쇠에 사용되고 있었다. 금속 용수철이 만들어진 것은 1500년대에
마차
의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해 판용수철이 발명된 때였다. 용수철이 일반적으로 사용된 것은 그로부터 2백년 후에 코일 용수철이 발명된 후이다.용수철의 성질을 이용한 기계들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 ...
MIT서 반(反)노벨상 시상식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이라 불렀다. 수감중인 본드 취급자 미첼 밀켄이 경제부문 수상자로 결정됐으며, '신의
마차
'(Chariots of the Gods)라는 작품을 써 '외계인이 선사시대에 지구를 방문했다'고 주장한 에릭 대니켄이 문학상을 받았다.그러나 이 상의 최고적임자는 유타대의 스탠리 폰즈와 사우스햄턴대의 플레이시먼이었을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33년과 1942년 대략 0.2등급으로 최대의 밝기를 나타냈다. 이웃한 황소자리의 알데바란이나
마차
부자리의 카펠라와 그 밝기를 비교해보면 그 변화를 알 수 있을 것이다.베텔기우스의 스펙트럼형은 M2로 이것은 이별의 표면 온도가 3만4천K(절대온도)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 온도에서 이 별 에너지의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시리우스를 데리고 동남쪽 하늘 위로 서서히 올라오고 있다. 오리온과 북극성 사이에는
마차
부자리의 1등성 카펠라가 빛난다. 동쪽 하늘 위로는 쌍둥이자리의 두별 카스토르와 폴룩스가 보인다. 그 아래 동쪽 지평선에는 사자자리의 머리부분이 떠오르고 있다. 남서쪽 하늘에는 가을의 길잡이 ... ...
시라노 드 베르주락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설명했던 점이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달나라로의 여행은 회오리바람이나 큰새가 끄는
마차
라거나 천사 혹은 저승사자의 힘을 빌리는 등 공상으로만 가능했었다. 그런데 시라노는 사람들이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방법들을 설명했으며 무려 일곱가지나 고안해내는데 성공했다.1. 뼈의 골수를 뒤집어 ... ...
마차
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물고기 고래 에리다누스자리가 보인다. 황소의 눈에 해당하는 붉은 색 알데바란과
마차
부자리의 노란색 카펠라는 남서쪽에서 유난히 밝게 빛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겨울을 알리는 쌍둥이자리와 오리온자리가 떠오를것이다.이달의 행성들금성 초순에는 새벽에 사자자리에서 볼 수 있으나 곧 ... ...
「서류없는 사무실」 EDI 확산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중세 이탈리아 청년, 그리고 인디언의 화살을 피해가며 우편배낭을 품고 서부로 역
마차
를 달렸던 사나이들… 이 모두가 공간을 극복하기 위해 노심초사했던 조상들의 모습이었다.운송업계에서 시작현대 정보통신문명은 이같은 수천년의 노고를 순식간에 옛날이야기로 만들면서 온 세계를 지척으로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북극성 사이엔 W자 모양의 카시오페이아가 자리하고 있다. 그 동쪽으로는 페르세우스와
마차
부 자리가 은하수 별무리의 끝부분에 묻혀 있는 것이 보인다. 자정이 가까워 오면서 동쪽 지평선 위로는 오리온과 쌍둥이가 떠오를 것이다.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은 북쪽 산등성이 아래로 꼬리를 감추고 ... ...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거주하는 생활 주변으로 국한됐다. 살고있는 마을을 중심으로 기껏해야 말이나
마차
를 타고 갈 수 있는 곳까지였다. 따라서 사람들의 주된 관심거리도 마을 주변으로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농경사회에서 인간의 행동 반경은 작은 점차원의 부락공동체에 머무를 수 밖에 없었다.산업사회에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