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불만 없이 케이크 나누기 고독한 분할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사람에게 조각을 준다. 케이크 분배가 끝날 때까지 남은 사람들은 ‘멈춰라’를 외치고 모든 사람이 케이크를 가지면 분배가 끝나는 방법이다. 동시에 외쳤을 때는 무작위로 사람을 선택한다. 2016년 호주 수학자 하리스 아지즈와 사이먼 멕켄지는 사람 수가 n명일 때 nn^n^n^n^n번 칼질하면 케이크를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로 주문하자!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정리’를 이용해 피보나치 수로 분해해 시키라는 것이다. 제켄도르프 정리는 모든 자연수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지 않는 피보나치 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유일하다는 것이다. 이름은 벨기에의 의사이자 아마추어 수학자 에두아르 제켄도르프에서 유래했다. 제켄도르프는 관련 연구를 197 ...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한 방향 패턴을 7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는 걸까? 그 원리는 바로 ‘대칭’에 있다. 모든 패턴은 기본 패턴 요소를 7가지 방법으로 이동시켜서 만든 대칭 도형이기 때문이다. 그 7가지 방법이란 회전과 평행이동, 수평과 수직 변환을 조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이 한 발로 뜀뛰기를 할 때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짧은 순간을 위해 1, 2년 동안 수많은 고민과 도전, 그리고 좌절을 겪어요. 그렇지만 그 모든 작업이 모여서 하나의 결과를 찾고 증명해내는 쾌감이 진짜 커요. 마치 축구에서 골이 들어가는 순간처럼요. 선수들은 이 한 골을 넣기 위해 끊임없이 뛰어요. 골을 못 넣을 때도 있지만, 어쩌면 그렇기에 ...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지름은 약 10억 광년에 달한다. 그런데 초은하 평면에서 이상한 경향성이 발견됐다. 모든 종류의 은하가 균일하게 분포할 것만 같던 초은하 평면에서 유독 타원은하만 눈에 띄고 원반은하는 거의 없다는 사실이었다. 틸 사왈라 핀란드 헬싱키대 물리학과 연구원이 이끈 국제 공동연구팀은 이 ... ...
- 생성AI 2024 트렌드3 - 멀티모달・초거대・맞춤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큰 비용 투자가 필요하다. 김 연구원은 “앞으로 더 효율적인 연산 기술을 찾는 것이 모든 AI 과학자들의 공통된 목표가 될 것”이라며 “자본이 풍부한 빅테크 기업이 이번에도 그 선두에 서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말했다. AI가 연산할 때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가격도 만만치 않다. 앞서 ...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전기가 통하는 성질인 전도성이 좋고 다루기 쉬워 전선 등 전기 신호를 주고받는 거의 모든 재료에 쓰인다. 기판 위 필요한 곳에만 구리 도금을 해서 부품들이 전기 신호를 주고 받게 만드는 것이다. 구멍을 뚫고 내부를 구리 도금하면 기판 위 아래에 있는 부품도 연결할 수 있다. 구리 도금을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우주망원경 같은 거대 과학 프로젝트든, 한 두 명의 연구자가 소소하게 진행하는 연구든, 모든 과학 연구에는 돈이 듭니다. 하지만 돈은 무한하지 않습니다. 과학 연구를 후원하려는 단체들은, 어떤 목적을 위해 어떤 연구에 한정된 자원을 투자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이를 결정하려면 매우 다양한 ... ...
- [논문탐독] 단백체 연구의 시작은 정확한 질량분석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불립니다. 탄소 동위원소 12C, 탄소 동위원소 13C 식으로 말이죠. 이런 동위원소들은 모든 원소에 있습니다. 다만 자연계에서 각각의 존재 비율이 다른 까닭에, 그 비율을 고려해서 평균 질량을 사용하죠. 12C의 질량은 12g이며 13C는 13g이나 자연계에서 이 두 동위원소의 비율이 98.9%, 1.1%이기에 탄소의 ... ...
- 별난 생물 이름 어떻게 지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나란히 적고, 기존의 다른 학명과 겹치지 않도록 지어야 하죠. 이 규칙 덕분에 전 세계의 모든 생물은 각각 다른 학명을 갖게 되었어요. 학명은 종의 겉모습을 따서 짓는 경우가 많아요. 2015년, 인도의 카르나타카 주의 숲에서 발견된 한 거미에게는 ‘에리오빅시아 그리핀도리(Eriovixia gryffindori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