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착
고집
접촉
d라이브러리
"
밀착
"(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폰 전자파 인체에 얼마나 흡수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이용자는 전체 국민의 5명 중 3명 꼴. 휴대폰은 다른 전기전자 기기와 달리 머리 부위에
밀착
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전자파에 대한 우려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잊을 만하면 한번씩 등장하는 전자파 관련 보도로 사람들에게 전자파가 인체에 해로울 것이라는 막연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 ...
올리브 짜는 기계 응용한 최초의 인쇄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원통을 삽입해 접착면을
밀착
시킨 금속 제품을 이용했다. 그러나 두 금속의 접착면이
밀착
되도록 성형해 붙이는 일은 매우 어렵다. 아무리 정밀하게 금속을 깎더라도 두 금속간에 틈이 없도록 깎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열가열법이다. 정밀하게 두 통을 만든 후, ... ...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손가락 맞붙임 구조는 전혀 다르다. 부드러운 손가락 끝에 맞닿아 붙는 다른 손가락의
밀착
면적이 넓어 그 기능과 감각을 활용하기에 유리하다. 즉 촉각이 예민한 손가락 피부의 융기면이 넓게 닿을수록 작고 섬세한 도구의 사용까지 효율적으로 해낼 수 있다는 얘기다. 결국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가느다란 고리로 이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수많은 고리가 아주 좁은 틈을 두고 서로
밀착
돼 있는 것이다. 이들 중 어떤 것은 구불구불하기도 하고 어떤 것은 둘이나 셋으로 갈라져 마치 머리를 땋아 놓은 모양을 한 것도 있다. 사실 고리의 두께는 20여m에 지나지 않는다. 고리 사이 틈새는 위성의 ... ...
쌀과 사이다에 숨은 공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쌀알끼리
밀착
된다. 중력에 의해 아래쪽에 있는 쌀알들이 먼저
밀착
되고, 쌀알들이
밀착
될수록 쌀은 구슬을 위쪽으로 민다. 두가지 종류의 물질이 같은 시간에 같은 공간을 차지할 수는없기 때문이다. 쌀알들이 더 촘촘히 쌓이면 구슬이 차지할 공간이 적어지기 때문에 점차 구슬이 표면 쪽으로 밀려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견해가 많이 나오고 있다.유럽이나 미국 등지에서는 투명한 비닐 용지를 바위 면에
밀착
시킨 후 인위적으로 새겨진 부분과 자연현상으로 생긴 바위틈을 구분해 잉크로 기록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진의 정밀촬영을 통해서 판독작업을 하는 경향이 많아졌으며, 다양한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최근 관심을 두고 연구해 온 결과를 발표했다.과학동아는 호킹 교수의 방한일정을
밀착
취재해 강연현장을 스케치했다. 또 그의 수행 간호사를 단독으로 인터뷰해 들어본 호킹 교수의 일상생활을 소개한다. 가누지 못하는 몸 속에 살아 숨쉬는 정신8월 31일 오후, 간간이 뿌리는 빗줄기가 서울의 ... ...
시스코 시스템즈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Listen! 직접 만나서 경청하라챔버스가 기업경영에서 가장 강조하는 점은 고객
밀착
이다. IBM은 직원들에게 ‘생각하라’(Think)는 사훈을 강조한다. 고객이 원하기 전에 먼저 생각하고 이를 고객에게 제안하는 것이 IBM의 방식이다. 이에 비해 시스코는 ‘경청하라’(Listen)를 입이 닳도록 강조한다.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① 물컵 케이크물이 담긴 컵 위에 물이 담긴 또다른 컵을 거꾸로 올려놓을 수 있을까?■왜 그럴까?물이 가득 담긴 컵에 종이를 덮어 거꾸로 세 ... 이 열에 의해 비닐봉지 분자들은 서로 잡아당겨 수축한다. 즉 비닐 봉지 분자들이 연필에
밀착
하기 때문에 물이 흘러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뒷부분에 위치한 망막의 혈관분포를 파악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눈을 측정기구에 정확히
밀착
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1985년에 미국의 아이덴티파이사가 개발한 망막인식시스템이 크게 상품화되지 못했던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홍채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거리(5-30cm)를 둔 상태에서도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