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아"(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디지털 경제생활 안내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유튜브, 로블록스 등 온라인 세계에선 재밌고 짜릿한 콘텐츠와 게임을 무료로 마음껏 즐길 수 있어. 그런데 공짜인줄 알았더니 그렇지가 않다고…? 온라인 생활에서 일어나는 나의 디지털 경제활동, 오늘 하나씩 짚어볼게! 세상에 공짜 미디어는 없다? 최근 영화관에서 영화를 본 적 있나요? 영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이쑤시개는 균형잡기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식사를 마친 섭섭박사님이 식탁 위에 놓인 이쑤시개 통을 발견하곤 하나를 뽑아 들었어요. 잇새를 쑤시려나 했는데, 이쑤시개는 균형 잡기의 달인(?)이라며 갑자기 컵과 숟가락을 가져왔지요. 섭섭박사님은 대체 무얼 보여주시려는 걸까요? 왜 이런 일이?→결과 : 이쑤시개 한쪽 끝이 사라져도 ... ...
- [Mathematician] 질병 분석부터 지하철 혼잡도 개선까지 삶의 문제 해결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 국내 사망 원인 2위인 심혈관 질환을 빠르게 진단하기 위해 병원과 협업한 수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국웅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입니다. 국 교수팀은 동맥경화, 혈전,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의 관상동맥 CT 사진을 수학적으로 분석해 치료를 ... ...
-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 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10월 4일 2023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가 발표되자 한국 과학계에선 아쉬움의 탄식이 나왔다. 올해 화학상은 양자점을 발견하고 합성한 모운지 바웬디 미국 MIT 교수, 루이스 브루스 미국 컬럼비아대 명예교수, 알렉세이 아키모프 전 나노크리스탈테크놀로지(NCT) 선임연구원에게 돌아갔다. 양자점 합성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2023년 이그노벨상은 화학과 지질학상부터 물리학상까지 총 10개 분야의 연구에 수여됐다. 스마트 변기만큼 엉뚱함과 재치로 빛나는 올해 이그노벨상 연구 중에서 과학동아 편집부가 특별히 세 연구를 선정해 집중 조명했다. “지질학자들은 왜 바위를 핥을까?”(화학과 지질학상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것은 시각 디자인의 정수. 디자인을 전공하는 대학생이라면 한 번쯤 과제로 만나게 되는 연습문제. 세계 곳곳의 대도시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공공 디자인. 바로 지하철 노선도다. 서울 지하철 노선도가 40년 만에 새롭게 탈바꿈했다. 동그란 모양의 2호선과 서울 가운데를 흘러 ... ...
- [메타버스 여행법] 템플릿으로 손쉽게 나만의 아이템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오하~! 내 제페토 캐릭터를 더욱 빛나게 만들어줄 아이템 쇼핑, 해 본 적 있나요? 내가 착용할 아이템을 직접 만들고 판매하는 크리에이터가 되어 볼 수도 있어요. 어떻게 하냐고요? 템플릿만 있으면 가능하답니다. ※ 편집자 주제페토는 10대 청소년이 많이 사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어과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올해도 노벨 위원회는 한국인의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우리는 노벨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을 과학기술 수준이 높은 국가에게 수여되는 일종의 인증서로 여긴다. 그래서 해마다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10월 초가 되면 “노벨상을 받으려면 과학기술 연구에 더 많은 지원을 했어야 했는데,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2015년 1월 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완성한 역대 최고 해상도의 안드로메다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전체가 무려 15억 픽셀! 사진 속 영역의 규모는 약 4만 광년에 달한다. 한 장에 1억 개가 넘는 별, 수천 개의 성단이 담겼다. 별 하나하나가 구분되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모습은 ... ...
- [논문탐독] 생명현상의 실타래에서 찾아낸 맞춤형 암 치료의 실마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생명현상은 세포분열, 물질대사, 항상성 유지, 환경적응 등 우리가 살며 겪는 모든 체내 현상을 뜻합니다. 생명현상은 DNA에서 유전정보가 전달되며 시작합니다. 이 첫 단계는 DNA가 자기 스스로를 복제하는 DNA의 자기 복제(DNA replication)입니다. 이어서 DNA의 복제된 정보를 DNA가 없는 세포 핵 외부로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