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도"(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순찰대원 고딱지] 플래닛 5종 경기 고딱지 대표선수 출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딱지야! 고딱지! 어딨어?”루띠가 큰 소리로 딱지를 불렀습니다. 딱지는 무슨 급한 일이 있나 싶어 얼른 뛰어갔습니다. 소리가 나는 곳으로 가자 루띠가 우주선 벽을 뜯어내고 뭔가 고치고 있었습니다. “왔어? 내가 망치를 잃어버려서 말이야. 망치 나와라, 뚝딱!”도망칠 새도 없었습니다. 금세 ... ...
- [SF소설] 블랙홀 뺑소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블랙홀 하나가 사라졌다. 처음에는 이런 지극히 ‘과학적인’ 일에 왜 나 같은 보험사 직원을 불렀는지 알지 못했으나, 사건이 마무리된 지금에서는 최선이었다는 판단이 선다.그것은 C580ED라 불리며 백조자리 근처에서 발견된 초대질량블랙홀이었다. 지구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블랙홀이라 ... ...
- [과학 뉴스] 30분 만에 바닷물이 생수 한 컵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4월 14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전기공학및컴 퓨터과학과 윤정호 연구원팀이 언제든지 바닷물을 생수로 만들 수 있는 ‘담수화 장치’를 개발했어요. 기존의 담수화 장치는 필터로 물을 거르기 위해 바닷물에 강한 압력을 줄 큰 펌프가 필요했어요. 그래서 20kg보다 가벼운 담수화 장치를 만 ... ...
- [논문탐독] 큐브샛의 동력원 태양전지판을 지켜라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큐브샛은 가로, 세로, 높이가 각 10cm인 1U(유닛)을 기준으로 3U, 6U 등 다양한 크기로 확장할 수 있는 초소형 위성을 말합니다. 초창기 큐브샛은 인공위성 부품을 검증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또 ‘우주인재양성’이라는 교육적 목적으로 큐브샛 제작이 이뤄지기도 했고요. 하지만 최근에는 전자 ... ...
- 2022 노벨 물리학상 I 벨 부등식 위배 입증 양자역학 논쟁을 끝내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2022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3명은 벨 부등식 위배를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양자역학의 가장 핵심 논쟁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다. 또한 양자얽힘을 이용한 기술을 발전시켜 양자암호통신과 같은 양자정보과학의 시대를 여는 데 기여했다. 벨 부등식으로 EPR 역설이 실험실 영역에서 논의되는 데 약 3 ... ...
-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빠르게 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엄청나게 쓰이는 전기 에너지와 이로 인한 기후위기와 해수면 상승. 과학자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할 장소 중 하나로 바닷속을 제시했어요. 해저 공간이 인류에게 새로운 기회의 땅이 될 거라고 해요. 바로 ‘해저 도시’죠. 한국은 해저 도시 선두주자지난 4월 13일, 한 ... ...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 새는 어떻게 날까?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내가 방금까지 열심히 보고 있던 게 뭔지 알아? 바로 내가 만든 새 도감이야! 무인 비행체를 만들기 위해 날개 유형이 다른 새 4마리를 샅샅이 조사했거든. 날개가 어떤 특징을 가져야 상황에 따라 재빠르게 움직이고 대처하는 ‘기동성’이 있는 걸까? 빠르게 솟아오르는 꿩 / Phasianus colchicus 날 ... ...
- 2022 노벨 화학상 I 복잡한 화학반응 ‘클릭’ 한 번으로 이뤄내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10월 4일 노벨위원회는 물질의 새로운 합성법을 밝힌 세 명의 화학자에게 노벨 화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배리 샤플리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교수와 모르텐 멜달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 캐롤린 버토지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노벨위원회가 밝힌 이들의 수상업적은 ‘클릭화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어과동에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재활용에 참여하며 지구를 지키는 영웅들이 있습니다. 여러분도 플라스틱 다이어트에 함께해 주세요! 플라스틱 다이어트 챌린지에 참여하고 선물 받자!5월 31일까지 챌린지에 도전하고 인증한 독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어과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영정사진 No, 실시간 LIVE로 세포를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생물학자들은 세포를 관찰할 때 보통 염색을 한다. 세포가 투명해서 눈에 잘 안 보이기 때문이다. 염색을 하면 세포는 오래지 않아 죽어버린다. 살아있는 세포를 죽이지 않고 그대로 관찰할 방법은 없을까. 이런 질문에서 3차원(3D) 현미경 ‘토모큐브’가 탄생했다. 토모큐브는 현미경 분야를 완전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