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식"(으)로 총 82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셀프 시스템그런데 흥미롭게도 정모세포와 난모세포가 각각 감수분열로 만들어낸 생식세포 수가 다릅니다. 정모세포가 감수분열을 해서 4개의 정자를 만들어내는 반면, 난모세포는 감수분열 후 단 하나의 난자를 만들어 냅니다. 난모세포가 분열을 할 때 세포가 동등하게 반반씩 나눠지지 않는다는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아치바드 교수와 크리스틴 버카드 박사 등 연구팀이 지난해 2월 바이러스성 질환인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PRRS)에 취약한 유전자(CD163)를 찾아내 이를 변형한 DNA를 수정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PRRS에 저항력을 가진 돼지를 만드는 데는 성공했다. doi:10.1371/journal.ppat.1006206 또 소를 위협하는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엄마 개입니다. 강아지가 태어나면 엄마 개는 강아지의 생식기와 항문을 핥아서, 항문생식반사(anogenital re ex)를 유발해 강아지가 배변하게 하고 그 배설물을 엄마가 핥아 먹습니다. 이것도 식분증의 일종이지만 지극히 정상적인 행동 입니다. 개가 이렇게 ‘더러운’ 행동을 하는 이유는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정밀 분석 결과 우주 방사선으로 인해 정자의 DNA는 손상을 입었지만 9개월간의 표류가 생식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일란성 쌍둥이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일란성 쌍둥이가 1년간 한 명은 우주에서, 다른 한 명은 지구에서 살았다. ‘우주에서의 1년(A Year in Space)’이라고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를 자극해 먹이를 먹는 행동을 유도하는 데에도 성공했습니다. 또 사냥행동, 공격행동, 생식행동 등 다양한 행동에 관여하는 뇌 영역을 밝히는 데 광유전학이 사용됐습니다. 다이서로스 교수는 2016년 ‘스탠퍼드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정신병을 이해하고 치료하기란 너무나 어려운 일”이라며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복슬복슬 꼬부랑, 다람쥐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속하는 다람쥐꼬리는 주변으로 포자를 퍼뜨려 번식해요. 포자낭 안에는 성이 따로 없는 생식세포인 ‘포자’가 들어 있어서 땅에 떨어지면 또 하나의 식물로 자라날 수 있지요. 따라서 다람쥐꼬리에는 수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관인 꽃이 없답니다. 줄기의 맨 윗부분에도 번식을 위한 ‘막눈’이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체세포’를 이용해 복제된 동물이에요.체세포는 난자나 정자 등 후손에게 전해지는 ‘생식세포’를 제외한,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를 말해요. 돌리는 6살 된 암컷 양의 체세포를 복제했기 때문에 이 양과 똑같은 유전자를 갖고 있지요.돌리를 만든 사람들은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로슬린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큰 고위험 병원체다. 탄저균은 살아있는 숙주 안에서는 생식세포인 포자를 만들지 않지만, 주변 환경이 척박해지면 균의 가장자리에 포자를 형성해 생존한다. 포자의 생존능력은 가히 놀라울 정도로 뛰어나다. 섭씨 8~45도, 산성도(pH) 5~9에서도 살아남는다. 감염된 ... ...
- [과학뉴스]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5mg 농도의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시키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유리물벼룩의 소화기관과 생식기관, 알주머니에까지 미세 플라스틱이 침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된 알은 10~15% 정도만 정상적인 발달을 보였고, 83%는 부화되지 못하고 죽었다. 안 교수는 “향후 플라스틱의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토끼가 좋아하는 먹이 토끼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줄기가 끊어져도 살아가는 데 전혀 문제가 없거든요. 이렇게 토끼풀처럼 특별한 유성생식 과정 없이도 똑같은 생물체를 만들어낼 수 있는 생물을 ‘모듈생물체’라고 부른답니다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