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릇
습관
관습
관례
적성
재능
소질
d라이브러리
"
습성
"(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단체로 이동할 때 자신들의 대장을 맨 앞에 세우고 나머지가 그 뒤를 따라가는
습성
을 가지고 있어요. 그동안 새들의 단체 행동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지금까지 어떤 새를 대장으로 세우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요.영국 옥스포드대학교 도라 비로 교수팀은 40마리의 ... ...
[과학뉴스] 히말라야에는 재채기하는 원숭이가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이 원숭이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비가 오는 날엔 무릎 사이에 얼굴을 박고 있는
습성
을 가지게 되었다고 해요.리빙 히말라야 2015년 보고서에는 이외에도 푸른 색의 눈을 가진 작은 개구리와 드라큘라처럼 송곳니를 가진 물고기 등 최근 6년간 히말라야에서 발견된 신기한 모습의 동식물이 실려 ... ...
고릴라 VS 오랑우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잘 발달해 있고 후각보다 시각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에요. 또 몸통을 똑바로 세우려는
습성
이 있어서 두 발로 걸을 수 있지요.한편 유인원은 영장류 가운데 꼬리가 없는 24종의 동물을 말해요. 유인원은 다시 몸집이 작은 긴팔원숭이과 동물과, 몸집이 크고 두 발로 걸을 수 있는 사람과로 나뉘지요.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중에서도 가장 연구가 안 돼 있는 분류군이다.“이름에 여치가 들어있지만 여치와는
습성
이 완전히 달라요. 꽃가루를 옮겨서 수분시키는 녀석도 있어요. 이것 보세요.” 스마트폰을 휙휙 넘기더니 영어논문을 꺼내 보여준다. “2009년 나온 어리여치 신종이에요. 메뚜기목 중에서 꽃가루받이를 하는 ... ...
바지락 VS 꼬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4㎝, 두께는 3㎝ 정도로 크기가 작지만 성장과 번식이 빨라요. 또 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습성
이라 양식으로 많이 길러져요. 여름철 산란을 대비해 3~4월에 크게 자라기 때문에 봄에 먹는 바지락의 살이 통통하고 맛이 좋지요.육식성 조개인 큰구슬우렁이는 바지락을 좋아해요. 바닷가에서 발견되는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새’는 바로 제비예요. 그런데 많은 새 중에서 왜 하필 제비가 나오는 걸까요? 제비의
습성
을 알고 나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을 거예요!사람이 사는 곳에 제비가 몰리는 이유을 보면 어느 날 커다란 구렁이가 처마에 있는 제비 둥지를 공격해요. 이 모습을 본 흥부는 재빨리 구렁이를 쫓아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교수가 웃으며 대답했다. “여기는 동물학과가 아니라 기계공학과입니다. 저희는 동물의
습성
을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독특한 기능을 연구합니다.” 기대는 와장창 무너졌지만 기계공학과 동물의 만남이란 말이 구미를 당겼다. 정 교수는 자신의 연구 분야를 ‘생체모방공학’이라고 불렀다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증거는 공룡의 체온과 포란 장소의 온도가 주변보다 높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런 산란
습성
은 중생대 수각류 공룡에서 중생대 원시 조류, 신생대 현생 조류로 진화하면서 점차 생긴 것으로 해석된다.조류는 몸을 가볍게 해주고 공중에서 부족한 산소를 저장해 놓는 ‘기낭(공기주머니)’이라는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곤충을 위에서 덮쳐서 잡아먹는
습성
이 있다. 릴 교수는 아놀도마뱀이 이런 사냥
습성
을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이 됐을 때 과연 묘수를 발휘해 사냥을 할지 알고 싶었다. 이를 위해 뚜껑이 덮인 그릇 속에 먹이인 곤충을 넣고 아놀도마뱀 앞에 둬봤다. 위에서 먹잇감을 덮치는 아놀도마뱀의 사냥법은 ... ...
개구리가 추운 경칩에 깨어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먹이가 별로 없지요. 그래서 경칩에 깨어난 개구리들은 동족을 잡아먹는 ‘동족포식’
습성
이 있어요. 알은 대부분 낳은 순서대로 올챙이가 되기 때문에, 나중에 산란한 개체의 알은 먼저 깨어난 올챙이에게 잡아먹히기 일쑤지요. 이 때문에 경칩에 깨어나는 개구리는 동족포식을 피하기 위해 불과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