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줄
끄나풀
면사
무명실
리본
현
d라이브러리
"
실
"(으)로 총 948건 검색되었습니다.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베트케 교수는 42차원 이상에서는 항상 소시지 모양 포장법이 최소 부피를 차지한다는 사
실
을 증명하는 데 성공했죠. 하지만 여전히 5~41 차원에서는 소시지 추측이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5~41차원 세계 산타들이 마음 편히 선물을 포장할 수 있도록 빨리 밝혀지면 좋겠네요. 그럼 3차원 주민인 저는 ...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무려 1만 마리 정도의 홍합이 필요해요. 무척 힘들겠죠? 그래서 홍합 단백질 접착제를
실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으려면 우선 홍합 단백질을 많이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해요. 저희는 미생물의 유전자를 변형하는 방법을 이용했어요. 미생물의 유전자 속에 홍합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 ...
나로호 프로젝트 본격 시동 협력 파트너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이후 다섯 차례에 걸친 정부 차원의 협상, 열여섯 차례에 걸친 계약 당사자 간의
실
무협상을 진행하고 나서야 마침내 2004년 10월 26일 KSLV-I에 대한 한러 기술협력 계약이 체결됐다. 나로호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는 뜻깊은 순간이었다. 조광래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의 전신인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범죄 현장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 찾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팀은 유체역학을 고려해 피를 분석하기 위한
실
험을 설계하고, 그 결과를 산불 진행이나 전염병 전파를 예측하는 수학 이론인 ‘침투이론’을 토대로 만든 수학 모형에 대입해 새로운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알렉산더 야린 연구원은 “이 모형이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카테콜 작용기의 마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홍 교수는 “양이온-파이 결합이 멜라닌의 고분자화와 발색에 영향을 준다는 사
실
은 확인했다”면서도 “단일 분자로 존재하던 멜라닌 전구체가 어떤 화학 반응을 통해 고분자가 되고, 양이온-파이 결합과 같은 분자 간 비공유 결합을 이용해 서로 엉겨 붙는지 그 과정은 명확히 밝혀지지 ... ...
후보1. 예술성·수학성 모두 갖춘 잠자리 날개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잠자리 날개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비슷하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수학자들이 힘을
실
어 준 겁니다. 그래서 더 열심히 날갯짓을 하며 수학을 알리고 있죠. 어쩌면 저희 몸속에 수학 유전자가 있는 건 아닐까요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파 프롬 홈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있을 수 있다는 이론이야. 그래서 그 안에는 지구랑 비슷한 다른 지구가 더 있을 수 있지.
실
제로 다중 우주론 연구자들이 경우의 수를 따져본 결과 다른 우주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밝히기도 했어.이러한 다중 우주의 차원에 구멍이 생기면서 우리 지구에 온 미스테리오는 엘리멘탈 크리쳐스에 ... ...
질서┃거대구조, 초은하단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거대구조 우리는 우주 전체를 볼 수 없다. 그 이유를 138억 년 전에 지구를 향해 출발한 빛을 따라가며 알아보자.138억 년 전 우주가 아주 작았던 시절, 현재의 지구 위치에 ... 자리하고 있다. 초은하단의 존재를 통해 우리는 우주의 은하가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는다는 사
실
을 알 수 있다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변화시킬지 기대가 됩니다. 글. 안현석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웨어러블융합전자연구
실
박사후연구원이다. 전기방사 공정을 이용한 신축성 투명전극 개발을 통해 웨어러블, 스트레처블 전자기기를 개발하고 있다.Byeongwan@wearablelab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있듯, 우주에 다녀왔기 때문에 기억될 이름이라면 세계 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이 사
실
상 유일할 것이다. 한국인에게 이제 우주란 아무도 가보지 못한 곳도, 그렇다고 누구나 가본 곳도 아니다. 그만큼 모두가 매력을 가질 만한 공간은 아닌 셈이다. 그럼에도 2006년 우주인 배출 사업에 지원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