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메아리
산울림
반사파
echo
d라이브러리
"
에코
"(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탐사기록 다운로드 기능 제공Q 지구사랑탐사대란?와 이화여자대학교
에코
과학부 장이권교수팀이 함께하는 무료 생태 탐사 프로그램이에요. 온가족이함께하는 생태탐사이자, 시민이 과학자의 연구에 참여하는 대규모 시민과학 프로젝트지요.탐사대원으로 선발되면 4월 초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코타나’를 발표했다. 2015년 아마존은 스피커로 대화할 수 있는 ‘
에코
’를 내놨다.
에코
는 음악을 틀어주거나 책을 읽어주며 질문에 대답하는 대화형 가상 비서 역할도 한다. 2016년에는 음성대화 챗봇인 ‘구글 어시스턴트’가 나왔다. 챗봇은 귀와 입만 갖춘 로봇으로 텍스트나 음성기반의 ... ...
[Issue] 카(Car)더라의 진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10%의 연비 절약 효과를 봤다고 밝혔습니다.멈출 땐 기어를 중립(N)에 놓아야 한다?
에코
드라이브라고 해서 신호를 대기할 때 기어를 중립에 놓는 것이 한동안 유행이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엔 오히려 자주 변속을 하면 동력이 손실돼 연비가 나빠진다, 부품이 마모돼 수명이 줄어든다는 반박논리도 ... ...
[과학뉴스] 모에 매달려 노래하는 수청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수원청개구리가 논의 안쪽으로 쫓겨 간 것을 의미해요. 함께 논문을 진행한 이화여대
에코
과학부 장이권 교수는 “수컷 개구리는 짝짓기를 하기 위해 노래한다”며, “암컷이 외부에서 논으로 알을 낳으러 오기 때문에 논둑이 짝짓기에 유리하다”고 말했어요. 게다가 “논둑은 땅에 편하게 앉아 ... ...
[현장취재] 왕귀뚜라미 대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땄죠? 그런데 왕귀뚜라미도 더듬이로 펜싱을 한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이화여대
에코
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의 말에 지사탐 대원들이 웃음을 터뜨렸어요. 이번 심화교육의 주제는 ‘동물들의 공격행동’이에요.“동물들은 어떨 때 싸움을 할까요?”사실 동물들은 싸우는 걸 좋아하지 않는다고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사귀고 추억도 많이 만들어서 내년에도 꼭 참가하고 싶다”고 말했어요.김선주 씨(
에코
마우스 팀 보호자)는 “아들이 자연을 사랑해서 지구사랑탐사대에 참여하게 됐다”며, “가족과 함께 특별한 추억을 쌓을 수 있어 기뻤다”고 소감을 전했답니다.진지한 생태 탐사뿐만 아니라 북한산국립공원이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함께 양구군 펀치볼 일대에 사는 생물종을 조사했지요.지사탐 대장이신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
과학부 교수님과 아마엘 볼체, 배윤혁 연구원도 친구들과 함께했어요. 어과동 친구들은 첫 날 도솔산 일대에서 숲속 식물과 곤충, 지의류를 찾고 야간 곤충탐사까지 무사히 마쳤어요.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지난 달, 방글라데시의 광고 회사 ‘그레이 다카’는 전기 없이도 기온을 낮출 수 있는 '
에코
쿨러’를 설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어요. 그리고 그 과정을 촬영해 광고로 만들었죠.
에코
쿨러는 쉽게 말해 페트병으로 만든 에어컨이에요. 널찍한 판에 수십 개의 페트병을 끼워 넣은 모양으로, 이때 ... ...
[지사탐 소식 1,2] 수청이 보금자리가 되살아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처한 동물들을 지켜 주길 바랄게요! 이화
에코
크리에이티브 생태문화 축제란?이화
에코
크리에이티브 생태문화 축제는 ‘재미있게 놀자’는 주제로 올해 처음 진행됐어요. 생태 문화에 관심을 가진 학생이나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참여해 생태와 함께 놀아 보자는 취지로 열렸지요. 생태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1년에 2000종이 사라진다?지금까지 과학적으로 분류된 종은 약 200만 종이에요. 하지만 몇몇 학자들은 최대 1억 종이 살고 있다고 이야기해요. 이렇게 전문가들의 의견마저 엇갈릴 정도로 우리는 아직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의 수를 정확히 알지 못해요.하지만 지구상의 종 수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