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염색체"(으)로 총 7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Life of Sounds’의 약자죠. 유전학에서 보면 부모의 염색체가 각각 반씩 만나서 자녀의 염색체가 만들어지잖아요. 그런 원리를 소리에 적용시켜 봤죠. 우성과 열성 유전자를 나타내는 대문자 A와 소문자 a가 각각 소리의 어떤 특성을 조절하게끔 설정해 놓고, 무작위로 조합되도록 만든 거예요. ... ...
- 바다 민달팽이 광합성의 비밀은 ‘먹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할 수 있게 됐는지 그 과정에 대해서는 잘 몰랐거든요. 연구팀은 바다 민달팽이의 염색체에서 엽록체를 만들 때 사용하는 유전자를 발견했어요. 이 유전자는 바다 민달팽이가 즐겨먹는 해조류에 들어 있는데,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지요. 바다 달팽이가 해조류를 먹어서 이 유전자를 ... ...
- [과학뉴스] ‘비만 유전자’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원흉으로 꼽히는 FTO라는 유전자가 있다. 상동염색체 한 쌍 중 한쪽에 FTO가 있으면 체중이 1.6kg이 늘고 양쪽 모두 있다면 3.2kg이 는다는 통계 연구가 있기 때문에, 그 동안 이 유전자는 비만 확률을 높이는 ‘비만 유전자’로 꼽혀 왔다. 하지만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만의 원인은 이 유전자가 ... ...
-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기능을 하지. 그런데 같은 기능을 한다고 해도 언니는 왼쪽 X염색체를, 동생은 오른쪽 염색체를 사용하면 둘의 외모에 아주아주 미세한 차이가 생길 수 있어. 누가 형이고 누가 동생일까, 갑론을박한국에서는 쌍둥이 중에서 먼저 태어난 아이를, 미국에서는 나중에 나온 아이를 형이라고 부른다. ... ...
- 고민하는 초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기간이 짧아요. 알에서 새끼가 태어나 어른으로 자라는 데 열흘밖에 걸리지 않거든요. 염색체수가 적고 눈의 색깔이나 다리의 모양처럼 유전적인 특징이 뚜렷한 것, 돌연변이가 자주 나타나는 것도 장점이에요.우와, 대단하다. 그렇다면 너희를 이용해 지구 정복이 가능한지 실험해 봐야겠어!좋아요, ...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일찍 죽는 남성들 이제 남성을 XY 대신 Xy라고 부른다. 이유는 간단하다. 2억년 전 Y 염색체가 탄생하자마자 시작된 유전자 소실이 다시 시작됐기 때 ... 가진 시한폭탄이 어떤 결과를 만들게 될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PART 2.Y가 사라진 ... ...
- INTRO. Y의 몰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인간의 염색체를 나열하다 보면 유난히 (작아서) 눈에 띄는 염색체가 하나 있다. 성별을 결정하는 성염색체, Y다. Y 염색체는 처음 생겨난 이래 지금까지 점 ... 이제는 Y가 ‘몰락’하는 시대라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생물 진화로 보면 ‘눈 깜짝할 새’다. 유전자 2개면 정자 만드는 데 충분하다아무리 Y 염색체가 쪼그라들었다고 해도 영영 사라지기까지 할까. Y 염색체에도 없어서는 안 될 핵심 기능이 있을 텐데. 그것이 바로 수컷을 수컷답게 만드는 유전자다. ‘Y 몰락설’의 또 다른 근거는 이 핵심 유전자의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유명 인사였다. C-HPP의 25개 연구 그룹 가운데 한국 연구 그룹은 3개다. 백 교수팀이 13번 염색체를 맡았으며, 유종신 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박사팀이 11번, 조제열 서울대 교수팀이 9번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이 연합하며 프로테옴 연구에서 한국의 힘을 과시했다.앞서 소개한 팬디 교수팀의 연구도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오래 전부터 예견됐다.생물학은 보는 것에서 시작한다살아 있는 세포에서 단백질과 염색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움직이는지를 고해상도로 볼 수 있다면 수많은 생물학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었던 뉴런의 새로운 구조를 STED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데 최근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