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운석
별똥
별똥별
별똥돌
별통돌
석질운석
d라이브러리
"
운석
"(으)로 총 426건 검색되었습니다.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완전히 말린 뒤, 청정하게 보관해야 연구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장보고기지에는 이
운석
을 보존하기 위한 1차 저장소가 준비될 예정이다.사실 전부 ‘예정’이라고 쓴 이유는 장보고기지 준공식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오는 배를 타기 직전까지 과학자들이 연구 장비의 포장도 뜯지 못한 상태였기 ... ...
PART 1. 응답하라,장보고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대한 종합관측망을 완성한다. 그 외에도 지구 생성의 비밀을 쥐고 있는 남극
운석
탐사, 빙하학, 고기후 및 지질연대학, 생물다양성 및 장기 모니터링 등 미지의 대륙 남극을 이해하기 위한 탐사와 연구가 장보고과학기지를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남극 2.0PART 1.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애초에 외계생명체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지요. 제가 할 수 있는 이야기는 여기까지예요.
운석
은 보통 태양계 내의 행성이나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돌덩어리니까 외계생명체의 기원을 찾으려면 다른 행성으로 가 보는 게 더 좋을 것 같네요.유리-밀러 실험1953년 시카고 대학의 헤럴드 유리 교수와 ... ...
괴물블랙홀 헌터 누스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9호
있어서 맨눈으로 보기 어렵고, 가까이 있다면 빨려 들어가 버릴 거예요. 주변에 있는
운석
이나 행성은 물론 빛마저 빨아버리는 무시무시한 이 천체는 무엇일까요?정답은 블랙홀이에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천체들은 자기 질량에 비례해 끌어당기는 힘(중력)을 가지고 있어요. 그중 블랙홀은 크기에 ... ...
끊임없이 소원 비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일반적인 유성들도 대부분 아주 작은 암석이나 먼지랍니다. 유성이 타고 남은 돌인 ‘
운석
’도 대부분 바다나 인간이 살지 않은 곳에 떨어지기 때문에 괜찮아요. 윽, 이야기 나누는 사이에 유성우 쇼가 모두 끝나 버렸어. 아직 지지지 밖에 못 했는데!유성우는 거의 매달 있어요. 특히 혜성 궤도를 ... ...
러시아
운석
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금이 가 있었기 때문이다. 첼랴빈스크주에 있는 체바쿨 호수에서 발견한 600kg의 거대
운석
을 비롯해 총 5000kg의 파편을 찾아내 조사한 결과다. 응집력이 약해져 있던 탓에 유성체는 대기권 돌입 당시의 압력을 견딜 수가 없었다.120만 년 태양계 떠돌다 지구와 충돌이 유성체는 지구위협천체(PHO)로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그 힘을 그대로 가지고 말이지요. 코왈스키가 날아간 방향이 지구라면 그는 마치
운석
처럼 떨어져 불타오를 것이고, 반대 방향이라면 지구에서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영원히 날아갈 겁니다. 코왈스키가 우주공간에서 수영을 하듯이 허우적거리면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살아날 방법은 ... ...
우리는 외계에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생물을 얼린 덩어리로 만든 뒤물을 향해 초속 7km로 발사했다. 지구와 비슷한 행성에
운석
이 충돌할 때의 속도다. 그 결과 미생물은 전멸하지 않고 살아남았다.외계 미생물이 냉동 상태로 우주공간을 날아와 지구에 떨어졌을 때 일부가 살아남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만약 미생물이 얼음이나 ... ...
우주기지 만드는 빅 엔지니어링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변화로 멸종됐거나 위기에 빠진 종들이 많다. 인간에게도 대안이 필요해지고 있다. 또
운석
충돌의 위험은 항상 잠재적으로 있기에 지구 밖에 삶의 터전을 마련할 필요도 있다.둘째는 ‘자원 확보’다. 지구 주위에서 발견된 소행성 숫자만 해도 9000여 개다. 소행성에는 물, 백금 같은 각종 자원이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작동하는 블랙박스를 열어 본 결과 동체를 회전하던 도중 센서의 사각으로 날아든
운석
파편에 부딪혀 파손된 경우였다. 그처럼 항성계 내에서 조난을 당하는 경우는 대략 10퍼센트 미만이다.이명과 같은 경우는 통계적으로 약 2퍼센트를 차지한다. 이명은 그 항성계의 4행성에서 찾아낼 수 있었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