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질
속성
질
d라이브러리
"
재질
"(으)로 총 5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낮과 밤을 마음대로 바꾸는 유리창?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수십 나노미터(1미터의 10억 분의 1) 굵기의 은을 이용했어요. 유리창에 말랑말랑한
재질
의 투명 고무를 얹고 그 위에 짧은 길이의 은 실을 뿌렸답니다. 평소엔 은 실이 너무 가늘어 유리가 투명해 보여요.여기에 전기를 흘려 주면 은 실에 전기적 인력이 생겨 은 실끼리 서로 잡아당겨요. 이때 은 실이 ... ...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있는 기술도 개발했지요.연구팀은 이 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사람의 귀와 똑같은 모양과
재질
을 가지는 인공 귀를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위 사진). 또한 쥐의 인공조직을 만들어 쥐에게 이식해 본 결과, 별다른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답니다.강현욱 교수는 “이 기술은 잃어버린 신체 부위를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양막류는 모두 딱딱한 껍질을 가진 알을 낳아요. 악어나 뱀의 알 껍데기는 가죽 같은
재질
인 반면, 거북 알은 탄산칼슘에 마그네슘이 섞인 광물인 ‘아르고나이트’로 된 껍데기를 갖고 있어요. 또 조류와 단공류의 알은 단단한 탄산칼슘 성분으로 둘러싸여 있답니다.열심히 쫓아서 험프티덤프티의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배란된 성숙한 난자를 수술로 꺼내야만 한다허 연구관이 난소 쪽 난관 끝에 금속
재질
로 된 가느다란 관을 꽂았다. 관의 반대쪽 끝은 빈 플라스크에 걸쳐 놓았다. 또 다른 연구원은 자궁 쪽 난관 끝에 주사기를 꽂고 반투명의 붉은 액체를 주입했다. 이승훈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사는 “난자가 살아 ... ...
[기자단 소식]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궁금한 점! 디오션은 어떻게 어마어마한 수압을 버틸까요? 수조가 유리가 아닌 특수
재질
의 아크릴로 되어 있고, 두께가 무려 46.7cm로 강도가 콘크리트의 4배나 되기 때문에 수조에 많은 물을 담아도 거뜬하다고 합니다.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취재하면서 다양한 체험을 통해 해양 동식물을 쉽게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엔진이 들어 있기 때문이지요. 또한 강한 압력과 열에도 버틸 수 있는 탄소복합재 같은
재질
로 만들어진 것도 발사체가 비싼 이유 중 하나예요. 따라서 발사체를 재사용하면 우주선을 발사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90% 가까이 줄일 수 있지요.이에 블루 오리진은 우주선과 분리된 뒤에 다시 정해진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소리만 듣고도 원샷 원킬!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조금씩 달라야 훨씬 실감나거든요. 총으로 인형을 쏘아 맞힐 때를 떠올려보세요. 인형의
재질
에 따라, 또는 같은 인형이라도 어디에 맞느냐에 따라 소리가 다르지요.소리의 파형은 진폭과 주파수, 위상이 일정한 사인(sin) 곡선이에요. 그런데 소리는 대부분 여러 개가 한꺼번에 들리지요. 그래서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핵융합 장치에서 플라스마 난류를 제어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KSTAR는 ITER와 동일한
재질
의 초전도 자석을 사용하고, 장치 제작의 정밀도가 뛰어나 자기장 오차가 매우 낮다. 덕분에 난류를 제어하는 기술을 매우 정교하게 실험할 수 있다. KSTAR에는 난류의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 ...
[과학뉴스] 떨어뜨린 음식, 5초 안에 먹으면 OK?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리스테리아 같은 박테리아는 습기를 좋아한다”고 밝혔다.음식이 떨어진 바닥의
재질
도 중요하다. 로버 연구원은 “면직물인 카펫은 평평한 바닥에 비해 음식과 접촉하는 면이 적어 박테리아가 이동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10% 정도지요.솜털은 겉보기에도 깃털과 다르게 생겼어요. 보통 깃털은 한가운데 단단한
재질
의 심이 있지만, 솜털은 모든 털이 가늘고 가볍답니다. 따라서 깃털보다 더 많은 공기를 머금을 수 있어서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시켜 주는 보온 능력이 더 뛰어나요.한편 닭이나 타조 같은 새들은 솜털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