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안"(으)로 총 2,0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동행의 부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적극성을 이야기하자 일사천리로 ‘현장견학’이 기획됐죠. 결국 독자위원들의 제안이 ‘동행’을 부활시키는 계기가 된 셈입니다. 참, 그러고보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을 만난 것도 전독위 덕분이네요. 독자 발제로 시작된 1월호 특집을 준비하면서 만나게 됐으니까요. 1월 26일, 과학동아 독자 ...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3화. 성공에 더 필요한 건 운일까 재능일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좋을까? 플루치노 교수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대답을 들려주었다. “제 제안은 행운을 많이 만나기 위해서 가능한 많은 기회에 도전해봐야 한다는 겁니다. 이것이 성공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비록 두 연구가 이그노벨상을 받긴 했지만, 플루치노 교수는 두 연구가 ... ...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구글 클라우드의 컴퓨터 사양이면 세계 기록을 넘어설 수 있을 것 같아 상사에게 제안해서 진행했어요. Q. 2019년 세계 기록을 세웠다가 바로 다음 해 다른 팀에게 빼앗겼던 세계 1위 자리를 2022년에 되찾았어요.세계 기록을 세우는 건 큰 운이라고 생각해요. 다른 연구자가 이미 저보다 많은 자리를 ... ...
- [Research] 모든 한옥 지붕이 사이클로이드는 아니에요!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수학 선생님께서 제게 먼저 R&E를 통해 한옥 지붕이 정말 사이클로이드인지 알아보자고 제안하셨어요. 그래서 이 주제에 관심 있는 친구들을 모아서 2022년 7월부터 연구를 시작했어요. 12월 10일 열린 수학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장려상도 탔습니다. Q. 연구를 어떻게 ... ...
- 첫 번째 질문 l 허수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프리드리히 가우스(1777~1855)는 허수 대신 외수(Lateral number, 옆의 수)라는 이름을 붙이길 제안한 바 있습니다. 수학자로서 허수라는 이름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수학자 반가운 질문이네요. 저도 허수라는 이름에 불만이 있거든요. 어떻게 보면 수는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해도 틀린 말이 ... ...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하면, 제가 속한 연구실에서는 자가공명하는 암흑물질인 ‘SRDM(Self-Resonant Dark Matter)’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논문은 강한 반응성을 가지며 질량이 있는 입자, ‘심프(SIMP・Strongly Interacting Massive Particle)’ 패러다임을 처음 제시했습니다. 여기서 강한 상호작용은 우 ...
- [Career Math] 프로N잡러, 서동주의 갓생 사는 비결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같은 해 블로그에 적던 일기가 인기를 끌자 출판사로부터 일기를 묶어 책을 내자는 제안도 들어왔어요. 그렇게 2020년에 나온 은 에세이 분야 베스트셀러가 됐지요. 30살 넘어 변호사 된 이유 그가 미국 샌프란시스코대학교 로스쿨에서 공부를 시작했을 때는 30살이 ... ...
- [과동키즈] “과정을 즐기는 것이 학자의 삶이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고맙게도 당시 연구실 선배가 자신의 실험을 도우면서 모델 시스템을 배워보라고 제안했다. 선배의 화학적 시스템을 기반으로 연구 주제를 찾던 중에 세포핵의 다상(두 개 이상의 상)의 세포막 없는 세포 소기관에 대해 읽었고, 이 시스템을 모델링할 수 있을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간단한 아미노산 ... ...
- [People] 만 10년 만에 이해한 그린-타오 정리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그린-타오 정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연구하는 건 시간이 한참 지나서야 가능했습니다. 대학생 때는 수학의 여러 분야를 두루 공부해야 했고, 대학원 때는 정수론의 다른 분야 ... 다 공부하자 세키 교수는 논문에 언급된 문제 중 ‘타오 교수의 별자리 정리’를 일반화하자고 제안했습니다 ... ...
- [커리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안성천의 생물다양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대회를 통해서 ‘환경’ 분야에서도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뭘 제안하셨나요?안성천에 3D 프린팅 기술로 인공구조물을 만들어 넣고, AI 딥러닝을 이용해 생물다양성을 키우는 아이디어입니다. 우선 SK 기술인 센서노드를 이용해 수중 환경을 분석하고,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