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붕"(으)로 총 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것을 의미하죠. ‘난중일기’, ‘이순신 행록’, ‘이충무공전서’에도 거북선의 지붕에 쇠 송곳을 꽂았다고 돼 있을 뿐 철갑선이라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다고 해요.둘째, 철판 때문에 부력과 복원력★을 잃었을 것이다.철판은 나무판보다 15배 이상 무거워요. 만약 거북선 등 전체를 4㎜의 철판으로 ... ...
- 인류와 데니소바인의 ‘결혼’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세계의 지붕’ 히말라야에 사는 티베트인들은 고산병에 걸리지 않는다. 고산병은 높은 지대에서 산소가 부족해 고통을 겪는 병인데, 티베트인은 특별한 유전자가 있어 이런 환경에 적응했기 때문이다. 최근 이 유전자가 현생인류 즉 호모 사피엔스가 원래 지니고 있던 유전자가 아니라는 연구 ...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다면 무인자동차만 보내고, 차량으로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은 드론을 무인자동차 지붕에 실어 함께 보낸다. 드론은 와이파이(Wi-Fi)를 통해 주문자의 위치를 받아 배송 위치까지 자동으로 날아간다. 정밀한 위치는 무인기에 실린 카메라를 통해 주변 풍경을 보며 보정한다.이번에 등장한 드론의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골이 골라인을 통과하는 순간을 3차원으로 완벽하게 재구성해서 보여줄 것이 다. 경기장 지붕에 설치된 초고속카메라 14대가 초당 500프레임의 속도로 골이 들어가는 순간을 지켜보고 있기 때문이다(일반 카메라의 약 20배 속도). 카메라에 서 생산되는 데이터만 초당 2기가바이트에 이른다. 데 이터는 ... ...
- 지구 최남단, 하얀 사막의 장보고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장보고과학기지 근처의 환경은 어떤 특성이 있고 어떻게 변하는지 알 수 있답니다.지붕이 푸른 장보고과학기지는 정말 아름다워요. 희다 못해 푸르게 빛나는 눈과 잘 어울리지요. 이제 집으로 돌아가야 할 시간인데, 자꾸 기지 쪽을 돌아보게 되네요. 이번에는 미국 맥머도 기지의 도움으로 비행기를 ...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보통 지붕 위에 흐르는 물을 받아 이물질을 가라앉혀 사용하는데, 처음에 내려온 빗물은 지붕 위에 있던 먼지가 씻겨 내려와 더러웠다. 그래서 작은 물통을 하나 더 설치해 1차로 가라앉히고, 맨 위에 뜬 깨끗한 물만 따로 받아 모았다. 간단해 보이지만, 정수처리장의 침전 방식을 응용한 것이었다 ...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생겼다는 가설도 있다. 동해는 여전히 베일에 싸여있다. 02 동해 해양지각은 ‘한 지붕 세 가족’동해는 우리나라, 일본, 러시아로 둘러싸여 있다. 동해 해저 역시 여러 덩어리로 갈라져 있는데 크게 울릉분지, 야마토분지, 재팬분지로 나눈다. 이들 커다란 세 분지 사이에 유라시아판에서 떨어져 ... ...
- 셀레스틴이 알려 주는 이빨의 비밀 어네스트와 셀레스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빠지게 돼. 그래도 걱정 마. 젖니가 빠질 때는 아프지 않단다! 한국에서는 젖니를 빼면 지붕으로 던지면서 두꺼비에게 ‘헌 이 줄게, 새 이 다오’라고 외치곤 한대. 친구들도 큰 소리로 외치며 젖니를 던져 보렴!자, 나는 이제 숙제를 하러 가야해. 선생님이 엄청 어려운 숙제를 내 ...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않는 곳이 아니었다.테라노바 만에 도착해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 멀리서 보이는 파란 지붕 덕에 장보고기지는 쉽게 알아봤지만, 그것이 전부였다. 아직은 공사를 하고 있어 여기저기 세워진 크레인과 컨테이너가 갈색 대지를 잔뜩 메우고 있었지만 배 주변을 날아다니는 남극도둑갈매기(일명 ... ...
- [포토에세이] 집 속에 집을 짓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세우고 지붕을 얹는다. 창문과 문의 위치를 잡고, 계단으로 층간을 연결한다. CAD 작업이 한창인 컴퓨터 화면만 보면 보통의 건축가 같다. 그러나 막상 집을 짓는 현장에서 쓰이는 재료는 속이 비칠 정도로 얇은 천뿐이다. 이 집은 바로 서도호 작가가 세운 ‘집 속의 집 속의 집 속의 집 속의 집’이다.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