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창
머드
연니
점토
찰흙
먼지
쓰레기
d라이브러리
"
진흙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진격의 심장, 디젤엔진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더 좋다고 한다. 실제로 SUV 같은 디젤차는 무거운 짐을 싣고도 빨리 달릴 수 있고 거친
진흙
길에서도 구덩이에 빠지지 않는다. 그런데 디젤엔진이 정말 가솔린엔진보다 힘이 좋을까.엔진의 힘은 엔진이 회전하는 속도와 회전하는 힘(토크)의 곱이다. 엔진 속도가 같아도 토크가 더 높으면 힘이 더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조각상이 베니스의 여신에 의해 생명력을 갖게 된다는 전설이 있다. 또 유대인 신화에는
진흙
으로 만든 인형에 주문으로 생명력을 불어 넣어 만든 인조 인간 ‘골렘’이 등장한다. 하지만 이런 인공생명체들은 상상 속에만 존재했다.본격적으로 연구의 싹이 튼 것은 1818년 소설 이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분화했다. 3000년 전에 4차례 분화했다. 2300년 전에는 화산 분화로 화산재가 물에 섞여
진흙
이 홍수처럼 흐른 흔적도 발견됐다. 후지산은 781년 이래로 16차례 분화했다. 간격은 일정하지 않다. 800년부터 1083년까지는 12번이나 분출했지만, 1083년부터 1511년까지는 4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활동 기록이 없다 ... ...
단추 채우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찍혀 있던 노란 스마일 마크가 떠올랐다. 그 마크가 떠오르자 영화에서 포레스트 검프가
진흙
투성이의 얼굴을 셔츠로 닦고 나니 스마일 마크가 찍혔던 것이 떠올랐다. 포레스트가 달리고 달려서 바닷가에 이르자 되돌아가 또 달렸던 것이 떠올랐다. 달리는 뒤로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었던 것이 ... ...
'레버 휠체어' 어떤 지형에서도 달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이런 것을 소외된 90%를 위한 디자인이라고 하죠.쌤> 윈터 교수도 과동이처럼
진흙
이나 풀밭이 많은 개발도상국에서의 휠체어 이용에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어요. 그래서 레버로 움직이는레버리지 프리덤 체어(LFC, Leverage Freedom Chair)를 개발했죠.과동이> 어라. 일반형 휠체어와 비슷하게 생겼네요. 저 ... ...
정글에서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더 빨리 도망가야겠는걸!물소강 근처나 늪지에 무리지어 산다. 원래 몸 빛깔은 검지만,
진흙
탕 목욕을 즐겨 흙색이 됐다.검은표범멜라닌 색소에 문제가 생겨서 검게 태어난 표범으로 흑표범 또는 흑표라고도 한다.사자고양잇과 동물 중에서 가장 큰 맹수로 ‘백수의 왕’으로 부른다.정체는 바로… ... ...
동서남북 모인 데서 신약 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월에도 화산탄 하나를 재채기하듯 뱉어냈다.지름이 1.6km나 되는 분화구에 고인 샘은 회색
진흙
과 노란 유황가스가 뒤섞여 에메랄드 색을 띤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용암을 잔뜩 숨기고 있는 듯이 보글보글 거품을 내고 있다. 거대한 화산 분화구를 보면 주변을 둘러싼 거대한 숲에 살고 있는 동식물의 ... ...
땅 안파고 보물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찾는다고대 이집트인들은 피라미드 같은 건물을 만들 때 석회암을 쌓아 올리거나
진흙
으로 벽돌을 만들어 썼어요. 이런 재료들은 모래와 비교해 봤을 때 밀도가 높아요. 그래서 태양 빛을 받았을 때도 모래보다 천천히 달궈지고 천천히 식는답니다. 적외선 영상은 이런 열 차이를 분석해 사막에 ... ...
피라미드와 앙코르와트, 누가 먼저 무너질까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보호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16세기 서적에서 찾았다. ‘물따니 미띠’라는 흰 빛을 띠는
진흙
으로 만든 팩을 바른 뒤 미지근한 물로 씻어내는 것이다. 현대 과학으로 아직은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한 답을 옛사람들의 지혜에서 찾은 모양이다. 부디 그 하얗고 아름다운 건물이 타고르의 싯구처럼 ... ...
적정기술, 36.5℃의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설탕을 만들고 나서 버리는 사탕수수 찌꺼기에 주목했다. MIT 공학도들은 사탕수수 대와
진흙
을 섞어 숯을 만들었다. 더 이상 땔감 때문에 나무를 벨 필요가 없었다.이것을 ‘적정기술’이라고 부른다. 적정기술의 시작은 보통 인도의 지도자 간디에서 찾는다. 당시 영국은 인도로부터 싼 값에 목화를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