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공동교육과정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때 주의하거나 준비해야할 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공동교육과정은 수업을 열심히 듣고 참여하겠다는 학생 자신의 의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사실 선생님들도 담당해야하는 교과 외에 추가로 수업을 개설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생과 교사가 함께 노력한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친구가 ... ...
- 경시대회에 개막식이 있다고?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수학과 학생들이 만든 프로그램인 ‘율리아의 꿈’에 참여했어요. 여기서 MIT 학생, 강사의 수업을 듣고, 여러 도전적인 문제를 친구와 함께 풀며 IMO를 준비했다고 해요. 율리아의 꿈은 2022년 전쟁으로 목숨을 잃은 우크라이나의 유망한 수학자 ‘율리아 ...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대거 참여했어요. 수학과 IMO를 향한 웬만한 애정이 없으면, 시간을 쪼개 IMO에 참여하기 힘들었을 텐데요. 그중 미래에 대해 여전히 고민 중인 수학과 대학원생을 만나봤어요. 이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요? 저는 고등학교 2학년이었던 2017년 IMO에 처음 출전했습니다. 2005년 이후 ...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그중 하나다 이 교수는 작년 12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이용한 국제 공동연구에 참여해 원시별 주위에서 다양한 유기 분자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doi: 10.3847/2041-8213/aca289 그리고 올해 7월에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일반 제안서 관측(GO)’ 사이클 2 프로그램에 한국인 연구 책임자로서는 ... ...
- 문제 채점을 협상으로 한다!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5번 문제 코디네이션 시간에 참가해봤습니다. 코디네이터는 2명, 대표단에서는 3명이 참여했죠. 코디네이터는 한 대표의 답안지를 들며 “답안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낮은 점수를 줘야겠다”고 이야기했어요. 그러자 한국 대표단의 남경식 KAIST 교수가 “모든 내용이 여기에 ...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먼 은하의 적색이동 값은 5였다(우주의 나이 약 12억 년). 당시 필자도 제임스 웹 계획에 참여했는데,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제임스 웹이 어느 정도의 고적색이동 은하를 찾을 수 있을지 분석하는 것이 임무였다. 그 결과 제임스 웹은 허블로는 볼 수 없는 적색이동값 13(우주의 나이 3억 년)의 ...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17년에 KVN이 ‘동아시아 우주전파관측망(EAVN)’의 일원으로 공식적인 블랙홀 관측에 처음 참여했을 때만 하더라도 EHT 연구자들이 다주파수 동시 수신 체계에 큰 관심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 연구자들과 교류가 많아지고, EAVN의 관측 성과가 EHT 공식 논문으로 발표되며 ... ...
- 피 땀 눈물에 뜨거운 박수를!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집행위원회는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의 참여를 금지해 러시아 학생들은 개인적으로 IMO에 참여했어요. “Perfect score, Republic of Korea(만점, 한국 참가자)!” 이번 IMO에서 만점을 받은 학생들은 따로 무대에 올라 축하를 받았어요. 태극기를 든 배준휘 대표를 시작으로 중국 2명, 미국 1명, 루마니아 1 ...
- 우주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하고 지구에서 쓴다!수학동아 l2023년 09호
-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으며, 이 경쟁 대열에는 미국의 스타트업인 ‘네뷸라 컴퓨트’가 참여하고 있다. 지구의 절반은 항상 태양 반대쪽, 밤의 우주를 향해 있고 이때 지구는 많은 양의 열을 복사 에너지 형태로 우주로 방출한다. 그런데 이산화탄소가 온실가스 역할을 하면서 지구가 밤의 우주로 ... ...
- [5년 후, 과학은] 탄소중립으로 가는 확실한 지름길 수전해 수소 생산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바닷물처럼 물의 pH가 중성이면 H+ 이온과 OH- 이온이 상쇄돼 산소와 수소 생성 반응에 참여를 잘 할 수 없습니다. 그 탓에 물의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해질 이온들이 부족해져 반응이 느려집니다. 따라서 이온의 종류와 농도, 물의 pH를 조절해서 물 분해의 효율을 높여야합니다. 셋째로 양극과 음극의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