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골
등뼈
척수골
척추
척추골
등골뼈
골수
d라이브러리
"
척수
"(으)로 총 237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리를 웃게 하자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감각신경 섬유를 통해
척수
로 들어오는데, 이때 지름이 큰 감각신경 섬유를 자극하면
척수
뒤쪽에 있는 관문을 닫아 통증을 못 느끼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침으로 인한 자극이 통증신호가 뇌에 이르는 것을 차단한다는 말이다.물론 관문조절설은 침의 효과를 설명하는 한 가지 이론일 뿐, 통증에 ... ...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미로감각이 장애를 받게 되어 몸이 심하게 흔들리고 쓰러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척수
로(脊髓癆)와 같은 경우에 뚜렷이 나타난다 종단(終端)을 파동 저항으로 부하한 마름모꼴의 안테나 단파의 송수신 안테나로 널리 사용되며, 보통 지상 수m의 높이에 대지와 평행하게 설치한다지향성이나 입력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뇌
척수
신경과 자율신경으로 구성되며, 자율신경의 일부는 뇌
척수
신경 속에 포함 되어 있다흔히 신경이라 하면 이 말초신경계의 신경섬유다발을 가리킨다신경을 구성하는 신경섬유는 그 흥분전도의 방향에 따라 중추로 향하는 구심성섬유와 중추에서 말초로 향하는 원심성섬유로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반사 조건반사에 대응되는 말이다감각기 에서 받아들인 자극이 대뇌를 통하지 않고
척수
·연수 등이 반사의 중추가 되어 이 곳에서 직접 운동신경으로 전해져 일어나는 반사이다무게를 느낄 수 없는 상태 중력을 느끼는 것은 지구 인력과 원심력의 합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원심력은 적도부분에서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20년 동안 하반신 마비로 살아온 환자가 탯줄혈액 줄기세포 이식 수술을 받은 후 마비된
척수
신경이 부분적으로 되살아나 화제가 되기도 했다.성체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세포치료법’은 계속 발전해 치매나 파킨슨씨병 같은 뇌에 관련된 난치병도 5년 내에 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받으면 그 부위의 감각신경에서 전류가 발생한다. 이 전류신호는 수많은 감각신경과
척수
를 거쳐 뇌의 시상으로 들어간다. 대뇌피질에 있는 감각중추가 이 신호를 받으면 아프다고 느끼게 된다. 연구단은 감각신경 말단에 있는 이온채널에 주목했다. 감각신경의 세포막에 박혀 있는 이온채널은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있다. 향후 줄기세포 치료가 실용화되면 이 체세포를 사용해 치료를 받게 되는 것. 먼저
척수
손상이나 파킨슨병처럼 줄기세포 치료를 위한 연구 성과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온 신경질환 환자를 중심으로 등록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20여명의 연구원이 세계줄기세포허브에 상주하면서 환자의 ... ...
하룻밤에 읽는 줄기세포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대통령은 치매로 고생하다 사망했다. 이들의 병도 줄기세포로 고칠 수 있을까.학자들은
척수
손상을 입은 리브나 강원래의 경우 줄기세포는 부분적인 손상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치매는 대뇌피질 전체가 독성 단백질 때문에 망가지는 질병임으로 줄기세포를 이식해도 치료는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통증이 있을 때나 운동 신경을 손상시키지 않고 선택적으로 응고시킬 때 사용된다
척수
의 뒷면을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방법 작용 메커니즘은 분명치 않지만 통증전달경로를 혼란하게 만들고 교감신경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보통 시험적으로 1주 간 시행해 환자가 만족스러워 하면 영구적 ... ...
우리는 어떻게 행동을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대뇌피질 외에도 기저핵, 시상, 소뇌, 중뇌, 뇌간(대뇌피질과
척수
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 등 뇌의 다른 영역들도 운동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과학자들은 기저핵과 시상이 대뇌 반구의 감각영역과 운동영역에 광범위하게 연결돼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예를 들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