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후"(으)로 총 500건 검색되었습니다.
-
- 단추 채우기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싶은 것처럼 한쪽 브로콜리의 머리가 계속 자라나도록 그렸다. 최후에는 스케치북이 찢어져라, 굵은 선을 그리며 둘을 하나의 가지로 이어내었다. 그러자 스케치북에는 브로콜리도 물방울도 포자도 사라지고 하나의 강처럼 굵게 이어진 두 줄의 선만 남았다.“이렇게 서로 ... ...
-
- 이과 갈까 문과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않을 수도 있습니다. 무엇이 되고 싶은지 모를 수 있습니다. 그런 학생들을 위해 최후의 선택법을 알려주고자 합니다.여러분은 몇 년 안에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이라는 시험을 볼 것입니다. 수능에서는 대체로 인문계열 응시자가 자연계열 응시자에 비해 3배 정도 많습니다. 반면 대학교의 ... ...
-
- 고발합니다! 스마트폰은 유죄 ?무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1호
- 모른다고 생각하니…, 흑흑…, 제발 절 버리지 말아 주세요~.그럼 마지막으로 피고인에게 최후 변론의 기회를 드리겠습니다. 피고,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하세요.제가 그러려고 그런 게 아니라요…, 저는 그냥 어린이 친구들이 좋아서 같이 게임도 하고 놀고 싶었을 뿐이걸랑요…, 좀 억울하기도 ... ...
-
- 백색왜성 짝이 만든 우주 표준 촛불과학동아 l2012년 12호
- 1a형 초신성이 생긴다는 데 동의한다. 백색왜성은 질량이 작아 폭발을 일으키지 못하고 최후를 맞은 별의 잔해다. 만약 한 백색왜성이 짝을 이루고 있는 다른 별(동반성)로부터 질량을 빼앗아와 점점 무거워지다가 질량이 한계를 넘어서면 핵융합이 일어나 초신성이 된다. 이 순간의 질량이 똑같기 ... ...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다시 가까워지다 결국 다시 한데 모여 물질과 빛, 에너지가 뜨겁게 이글거리는 것으로 최후를 맞는다. 당신이 ‘핫(hot)’한 것을 좋아한다면 마음에 들 것이다.하지만 밀어내는 에너지, 즉 암흑에너지를 선택한다면 정반대다. 우주는 마냥 늘어나며, 늘어나는 속도도 점점 빨라진다(가속팽창). 끝이 ... ...
-
- 중간크기 블랙홀 단서 발견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있는 초거대 블랙홀과 달리 관측이 어려웠기 때문이다.중간 크기의 블랙홀은 별이 최후를 맞으면 생기는 블랙홀에서 시작된다. 이 씨앗은 다른 별과 부딪쳐 흡수하면서 자란다. 그러나 은하 하나에 수천억 개의 별이 있어도 별 사이의 공간이 훨씬 넓어서 다른 별과 부딪칠 확률은 낮다. 그래서 ... ...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앞에 최후의 악당이 나타났다. 강력한 육체적 힘뿐만 아니라 단호한 결단력과 효율적인 전략을 두루 갖춘 악당이다. 악당은 핵융합로를 개조한 중성자탄으로 고담시를 위협한다. 도시를 지키기 위해 배트맨은 ‘더 배트’를 타고 고담시의 밤하늘을 가로지른다. 4년 만에 돌아온 배트맨, ... ...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8호
- 그러나 그런 기록은 없다. 전문가들이 이런 한계를 자주 지적했지만 사람들은 폼페이의 최후를 연상해서인지 이 설을 쉬이 버리려 하지 않는다.사람들은 발해의 넓은 영토에 관심이 많다. 그런데 신라 통일 전후에 시작된 외계충격 현상은 발해 지역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추워진 날씨는 순수 ... ...
-
- 태양, 세렝게티의 사자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태양에게 중심을 향해 수축하도록 지시한다. 이대로라면 태양은 약 20분 만에 찌그러지고 최후를 맞이할 것이다. 하지만 열역학(비리얼 정리)에 따르면, 수축에 따른 중력에너지 감소의 절반은 내부 온도를 높이는 데 사용돼 중력에 반대되는 압력으로 작용한다. 이 경우 태양이 크기를 약 3000만 년 ... ...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될 것이다. 우리 은하의 모습이 완전히 변하는 것이다. 어떤 일이 벌어질까. 혹시 태양계 최후의 날이 오는 것은 아닐까.태양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별은 4.2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알파 센타우리 별이다. 이 거리를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100만 분의 1 비율로 축소해보자. 그러면 태양은 지름 1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