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론"(으)로 총 57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교과 성적의 ‘진짜’ 의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않지만, 대학이 교과 성적을 활용해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고자 한다는 사실을 충분히 추론할 수 있다.그리고 대학이 학교생활기록부를 통해 학업역량, 전공적 합성, 발전가능성, 인성, 잠재력 등을 평가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교과 성적이 이런 지표를 일차적으로 드러내는 것 이라고도 짐작할 수 ...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있다. 세포 단계에서 자극을 기억하거나, 이 기억을 다시 추출해내고, 더 나아가 추론도 가능해진다면 먼 훗날에는 ‘인공지능(AI)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도 등장할 수 있다. 최 교수는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 기술이 발전을 거듭한다면 언젠가는 실제 동물의 능력을 뛰어넘는 날이 올 ...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학교생활 적응력을 평가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의문을 해결하기 위한 가설 설정, 추론, 실험설계, 결과 예측에 대한 탐구 방법론까지 스스로 이해하고 있는지 자문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 팀을 이뤄 발표나 토론을 하는 등 협동 과제를 진행할 때는 자신의 표현과 태도가 과하지 않은지,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도했고, 그 결과 새로 분열된 정상 세포들이 자멸한 세포들의 빈자리를 채운다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위 그림 ➊). 암과 세포 자멸의 이상한 연결 고리이런 현상이 단지 초파리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몸속의 간(肝)은 놀라운 재생 능력을 가졌는데요. 일부를 잘라냈을 때 잘린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생화학 무기를 생산할 능력을 보유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힘들다. 다만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2017년 3월 노동신문에 따르면 북한은 수천 톤(t)의 유기 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 단지를 평양 강남군에 건설했다. 넓이만 수천 m2에 이른다. 필립 연구원은 “만약 유기 비료 단지가 생화학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밝히는 것이다. 엄청난 수의 원자들 사이의 상호작용 에너지를 계산하고 그 의미를 추론하기 위해서는 슈퍼컴퓨터가 필요했다. 장 교수는 결국 슈퍼컴퓨터를 직접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단백질을 시물레이션하는 연구까지 섭렵했다. 현재 DGIST에는 장 교수 주도로 구축된 슈퍼컴퓨터 ‘아이램(iREMB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내놓는지 개발자인 연구팀조차 자세하게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딥미러의 추론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얼굴 인식의 특정 단계에 저장된 이미지를 확인한 적이 있다. 윤 책임 연구원은 “사진에서 얼굴의 특징값을 일일이 뽑아내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과 유사한 형태로 얼굴을 인식하고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어떻게 맞추셨죠?”메데이아가 말했다. “보고서에 쓴 대로입니다. 논리적으로 치밀한 추론은 아니었습니다. 기이한 일이 동시에 세 곳에서 벌어졌다, 그건 굉장히 가능성이 낮은 일이다, 그러므로 그 세 사건은 직접적인 원인이 같다, 어떤 방아쇠가 있는 것이다……. 물론 가능성이 아주 희박한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모형이다. 한 값이 주어지면 다른 변수들의 확률분포, 즉 유망한 값을 추론한다. 논리적 추론 체계에 우연으로 무장해 더 강력해진 인공지능은 적용 범위를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우연의 설계’는 우연으로 무장해 우연을 줄이는 인공지능 등 우리를 둘러싼 확률과 무작위성에 대한 다양한 통찰을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있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정보만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정보는 외면하는 ‘동기화된 추론’, 자신의 신념과 믿음을 수정하는 불편함을 회피하기 위해 어떤 사실이 자신의 믿음과 어긋나면 사실을 부인하는 ‘인지 부조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마지막으로 슬로빅 교수는 백신에 의구심을 가지고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