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출력"(으)로 총 1,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모두 구성했다. 이광도곡선역산법은 자전주기와 축 방향, 그리고 형상의 순서로 모형을 출력하지만 SAGE 기법은 모두 자유변수로 놓고 동시에 계산한다. 미지의 소행성을 연구할때는 변수가 더 많은 SAGE 기법이 오차가 다소 큰 것으로 알려졌지만 다양하게 추정해 봐야하기 때문에 두 가지 기법을 다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토크에서 약간의 여유분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로보트 재권V의 무릎 모터는 80Nm급의 출력을 낼 수 있는 것으로 선정하겠습니다. 상당히 힘 센 모터를 구매해야 하겠네요. 이렇게 큰 힘을 낼 수 있는 좋은 모터를 구매하다 보니 로봇 만들 때 재료비가 많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발목에는 무릎 절반 힘 ... ...
- [출동! 기자단] Nintendo Labo(닌텐도 라보), 골판지로 마법을 부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이어 회로를 완성하지요. 입력값의 종류로는 화면 터치나 조이콘의 움직임 등이 있고, 출력값은 소리와 진동, 깜빡임 등이 있어요. 여기에 타이머나 카운터 등 중간값을 추가해 간단한 게임도 만들어 볼 수 있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화면을 세 번 터치하면 조이콘이 진동하는 회로, 조이콘을 ... ...
- [과학뉴스] 모기, 10m 떨어진 목소리도 듣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연구팀은 모기와 10m 떨어진 위치에서 여러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출력하고, 동시에 모기의 뇌 부분에 전극장치를 붙여 청각신경의 신경생리학적 반응을 기록했다. 그 결과 이집트숲모기는 150~500Hz의 주파수, 평균 31데시벨(dB) 크기의 소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다. 사람은 ... ...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많은 600g으로 정해 볼까요.자동차 스펙을 말할 때 ‘이 자동차 엔진은 배기량 2000cc, 최고출력 300마력, 최대토크 40kg·m’처럼 표현합니다. 토크(Torque)는 자동차 엔진처럼 회전하는 기계의 성능을 평가할 때 쓰는 말로, 회전하는 힘을 나타냅니다. 토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로봇팔이 물건을 들고 있는 ...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사실은, 자동차 엔진의 발전기나 로켓 액체엔진의 가스발생기 모두 엔진 시스템의 출력을 일부 사용하기 때문에 엔진 성능을 저해하는 원인 부품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이렇게 자동차 엔진에 공급된 연료는 흡입, 압축, 폭발, 배기가 이뤄지는 실린더블록(로켓의 연소기)으로 공급돼 최종적으로 ...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줄이는 데 사용되길 기대한다. 물론 지금의 엔진 시스템을 대체하거나, 아니면 그보다 출력을 높인 성능으로 말이다. 또한 전기항공역학 추진 장치를 작게 만들면 크기가 매우 작은 ‘나노 드론’도 만들 수 있을지 모른다. 많은 사람들이 이것이 어렵거나 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할 지도 모른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과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돼요. 코딩에 대해 잘 몰라도 괜찮아요. 입력을 의미하는 빨간색 ‘c’ 버튼과 출력을 뜻하는 보라색 ‘Go’ 버튼을 순서대로 누르면 노래에 맞춰 뚜뚜가 자유롭게 움직여요. 이 기능을 사용하면 방향 코딩을 잘 모르는 어린 동생들도 쉽게 순서의 개념을 익힐 수 있답니다 ...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본부장은 “우주발사체는 낮은 *추력을 가진 엔진 여러 개를 묶는 방식(클러스터링)과 고출력의 엔진 하나를 쓰는 방식으로 나뉘는데, 클러스터링이 요즘 추세”라며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 6개의 엔진 중 5개를 같은 엔진으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답니다. (*추력 : 물체를 운동 ... ...
- 레이저 쏘아 외계인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외계 행성에서 감지할 수 있는지 계산했어요. 그 결과, 지름이 30m인 망원경을 통해 2MW 고출력 레이저를 우주로 쏘면 태양에서 4광년 떨어진 행성 ‘프록시마-b’에서도 감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또, 지름이 45m, 1MW라면 태양에서 약 39광년 떨어진 ‘트라피스트-1’ 항성계에서 보인다고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