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과"(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라하과통 을션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벗어들었지만, 딱지가 한발 빨랐습니다. “고딱지 통과!”딱지는 1등으로 골인 지점을 통과했습니다. 그때 우연히 로렌스 선배의 눈빛을 본 딱지는 소름이 돋았습니다. 너무나 무서운 표정으로 딱지를 노려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 ...
- [기획] 하늘의 소리터널 열기구로 최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수 있었어요. 발사하는 로켓의 굉음을 한 번 들을 수 있었고, 로켓이 대류권계면 근처를 통과하며 상승할 때 또 들을 수 있었어요. 마지막으로 1단 로켓이 다시 대류권계면 근처를 지나며 떨어질 때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답니다. 대기에도 소리가 400km만큼이나 멀리 이동할 수 있는 터널이 있다는 것을 ... ...
- [출동! 슈퍼M] 날개 모양, 개수에 따라 바람도 달라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흩어지지요. 반면 공기순환기의 안전망은 나선형★으로 되어 있어요. 나선형 안전망을 통과한 바람은 비틀어지면서 회오리바람이 돼요. 즉, 공기순환기는 날개의 모양과 안전망의 모양으로 인해 강력한 회오리바람을 만들게 돼요. 그래서 바람이 흩어지지 않고 뭉쳐서 멀리 나아가게 되지요 ... ...
- [특집] 어디까지 알아 봤니? 전 세계 지하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태양에서 온 중성미자가 관측될 확률은 1조분의 1(지구를 통과하는 중성미자 1조개 중 1개가 관측된다는 뜻)에 불과하다. 데이비스 교수는 1965년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리드 홈스테이크 금광 지하 1500m에 염소 원자가 들어있는 탱크를 설치한 뒤 중성미자가 염소와 반응해 ... ...
- [SF소설] 블랙홀 뺑소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발포해버렸다. 다행히 그는 물리적인 공격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다. 마침 정문을 통과하던 연구소장이 그 광경을 목격하곤 그를 차에 태운(가둔) 후에 연구소 안으로 데려왔다. 연구소장은 그와 함께 회의실로 들어가더니 금방 얼마 지나지 않아 사색이 된 표정으로 ‘어떡하지?’라는 말을 ...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연구위원) 잠시 손을 들어 엄지 손톱을 바라보자. 이 손톱을 1초에 약 700억 개씩 통과해버리는 입자가 있다. 이 입자는 매순간 태양빛과 함께 지구로 쏟아지고 있지만 누구도 느끼지 못한다. 우리 몸을 이루는 원자들과 어떤 상호작용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유령입자(ghost particle)’라는 별명을 ... ...
- [과학 뉴스] 30분 만에 바닷물이 생수 한 컵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못하고 막 바로 아래에 모입니다. 양이온 물질들은 음극이 있는 아래쪽으로 끌려가 막을 통과해요. 그리고 막 아래 모여 있던 음이온 물질과 붙어 함께 배출되지요. 전하를 띠는 소금, 세균, 바이러스 등 오염물질은 배출하고, 남은 깨끗한 물을 분리해 생수를 만드는 거지요. 연구팀은 바다 ... ...
- [특집]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YEMILAB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기준으로 생각했을 때 지상에선 초당 1개씩 통과한다. 그리고 예미랩에선 분당 0.00000001개 통과한다. 잘 막아냈지만 AMoRE-Ⅱ 실험을 하기엔 부족하다. 때문에 AMoRE-Ⅱ 실험장치는 2층으로 구성돼 있다. 1층엔 검출기, 2층엔 스테인리스 수조를 설치한다. 스테인리스 수조에 초순수(아주 순수한 물)를 ... ...
- [어덕행덕] 필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카메라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들어가자 벽면 한쪽에는 필름카메라가 쌓여있고, 어두컴컴한 구석에는 플라스틱 통과 유리통이 일렬로 늘어서 있었습니다. 이곳이 사진관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죠. 곳곳에 보이는 액자 속 자동차 사진만이 그가 자동차 광고 기획자인 것을 생각나게 했습니다.“‘라이카로 찍으면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왼쪽으로 돌려? 오른쪽으로 돌려? 데굴데굴 구슬 미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스완지대학교 에드워드 포프 박사팀은 유럽꽃게도 시행착오를 거쳐 미로를 점점 빠르게 통과할 수 있으며, 2주가 지난 뒤에도 경로를 기억해 미로를 더 빨리 해결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답니다. 구슬 미로, 어떻게 만들까? 다음 실험 예고블루투스 스피커6월 15일 자 ‘도전! 섭섭박사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