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중용
중화
조화
중정
평균
패리티
d라이브러리
"
평형
"(으)로 총 5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힘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힘은 저항력이다. 손바닥을 수평으로 펴고 창밖으로 내밀어 보면 추진력과 저항력이
평형
을 이뤄 손이 내민 그 자리에 그대로 있는 것을 경험해 볼 수 있다.주의! 달리는 차에서 과도하게 창밖으로 손을 내미는 행동은 운전자와 본인에게도 매우 위험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만약 바람의 힘을 ... ...
과목별 핵심 단원부터 정복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구해보라는 물리·생물 통합형 문제를 냈다. 화학 문항에서는 ‘반응속도와 화학
평형
’이라는 주제에 효소 저해제의 영향을 묻는 생물 논제를 추가했다. 물리에서는 발전기의 원리를 이용한 논제에 두 발전방식 중 구리의 전기분해에 어느 것이 유리한지를 물어보는 화학·물리 통합형 문제를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일률(단위 시간당 한 일이나 에너지를 전달하는 비율)과 다른 한쪽 팔의 전자기적 일률이
평형
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 장치의 이름이 와트 밸런스인 이유다.전자기 팔에 걸린 전류와 전압, 자기장, 이동 속도 등이 얼마인지를 정밀하게 알아내면 질량 m을 구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값은 측정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술을 활용해 자기공명영상(MRI) 장치, 탄화규소(SiC) 나노분말, 플라스마를 활용한 선박
평형
수 정화장치 등에 관한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초전도 자석은 MRI의 핵심부품이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국내 MRI 영상처리 기술을 가진 국내 벤처기업과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국산 MRI의 ... ...
우주엘리베이터의 상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고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3만 6000km 보다 높은 곳에 중력을 상쇄할 수 있는 무게추(
평형
추)를 두면 케이블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계속 유지된다. 우주엘리베이터가 완성되면 어려운 훈련과정 없이 누구나 관광 목적으로 우주기지를 방문해 지구를 내려다 볼 수 있다. 욕심을 부린다면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고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3만 6000km 보다 높은 곳에 중력을 상쇄할 수 있는 무게추(
평형
추)를 두면 케이블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계속 유지된다. 무게추로는 소행성이나 인공위성을 이용할 수 있다. 우주엘리베이터가 완성되면 어려운 훈련과정 없이 누구나 관광 목적으로 우주기지를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과학동아 9월호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 참고)이 표층 물질에 작용하는 중력과
평형
을 이뤄 물질의 하강을 막아 태양의 크기를 유지한다. 만일 이 균형이 깨지면 항성의 크기가 증가 혹은 감소하고 차이가 심한 경우 폭발한다. 이러한 과정은 항성의 질량에 의해 진행된다. Q. 생각해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용해 유사한 향기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 과정 역시 후각기와 유사하다. 이 밖에도
평형
감각기와 작동 방법이 유사한 중력 센서 등이 있다. Q. 생각해 봅시다 CCD(Charge Coupled Device)를 이용해 컬러 사진을 얻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시오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빌라니 교수와 응오바오쩌우 교수빌라니 교수님은 기체 분자에 큰 충격을 줘도 결국
평형
상태, 즉 충격을 받기 전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어. 응오 교수님은 정수론과 함수론이 서로 동떨어진 학문이 아니라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랭글란즈의 추측 중 기본보조정리를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계산식을 그대로 살린 채 일정한 공간에 있는 음이온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를 적분해
평형
상태에 이른다는 사실을 보였다. 완벽한 증명은 아니지만 란다우의 계산보다 한 걸음 더 나간 것이다.스미르노프 교수는 삼각격자 위에서 침투이론을 설명했다. 침투이론은 모래 위에 빗물이 스며드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