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이것’ 고려하지 못했다? 성차의학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남성은 이례적인 골다공증 환자로 취급받는다. 영국 셰필드대 연구팀은 2022년 3월 국제학술지 ‘랜싯’에 남성이 여성보다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로 입원해 사망하는 비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016/S2213-8587(22)00012-2 연구팀은 “남성 골다공증이 흔하지만, 의사들이 간과하고 ...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정렬 마크없이 미세 패턴을 정확하게 정렬하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4월 18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했다. doi: s41467-023-37828-8 미세 패턴이란 말 그대로 아주 작은 패턴이다. 100만 분의 1m인 마이크로미터, 10억 분의 1m인 나노미터를 단위로 하는 미세 패턴은 대표적으로 ... ...
- [과학뉴스] 천산갑 닮은 로봇 몸 속 탐험한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소장의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6월 2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467-023-38689 ... ...
- [디지스트 융복합파트너] 행동 제어 스위치 찾아 뇌질환 치료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이런 단점을 보완한 ‘세포체 표적 캘라이트(ST-Cal-Light)’ 기술을 개발해 2022년 12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세포체 표적 캘라이트 기술에선 캘라이트 단백질의 칼슘, 청색광 반응 정도를 더욱 높였다. 덕분에 활성화된 신경세포를 기존보다 더 정확히 표지할 수 있다 ... ...
- 증명에 도전하는 이유는?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 때문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좋겠다”고 전했습니다. 허 교수의 조언을 들은 강현승 씨와 최어진 씨는 “그동안 학술지에 증명을 심사해달라고 요청할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다”며, “미국 학생들처럼 논문으로 정리해서 심사를 요청해봐야겠다”고 포부를 전했어요 ... ...
- [과학뉴스] 전 세계 호수 절반이 말라가는 중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유량이 줄어드는 현상이 전 지구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5월 1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렸다. doi: 10.1126/science.abo2812 미국 콜로라도볼더대, 캔자스대, 프랑스국립우주연구센터(CNES)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1992년부터 2020년 사이 전 세계 호수의 수위 변화를 분석했다. 1051개 ... ...
- [과학뉴스] 물고기의 특별한 GPS 세포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연구는 그동안 많았지만 어류에 관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는 4월 25일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doi: 10.1371/journal.pbio.300174 ... ...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구체적으로는 표피와 진피층에 정확히 넣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translmed.aaw3329 우리 연구팀은 올해 4월, 뒷어금니독사의 어금니 구조물을 본뜬 새로운 주사기를 대량생산하는 데도 성공했다. 새로운 주사기와 기존 주사기의 가장 큰 ... ...
- [과학뉴스] 다리 12개 지네 로봇 행성 탐사도 가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움직임에서 착안한 지네 로봇, ‘미리아포드’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5월 24일 국제학술지 ‘소프트 로보틱스'에 실렸다. doi: 10.1089/soro.2022.0177 많은 로봇들이 인간과 비슷한 이족보행 형태로 만들어지지만, 두 발로 걷는 로봇은 한 쪽 다리에만 이상이 생겨도 큰 문제가 된다. 그렇다고 곤충처럼 ...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기다릴 수도 있겠다. 바퀴벌레의 유전자를 편집할 기술도 이미 마련돼 있다. 2022년 국제학술지 ‘셀 리포츠 메소드스’에는 바퀴벌레의 유전자를 손쉽게 편집할 수 있는 ‘DIPA-크리스퍼’라는 유전자 편집기술을 개발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를 이끈 타카키 다이몬 일본 교토대 농대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