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충"(으)로 총 30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2 FLL KOREA 현장 속으로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한다. 올해 FLL 대회의 주제는 ‘음식(food factor)’으로, 미션은 옥수수와 생선을 가져오고 해충을 제거하는 등 식품의 생산과 유통에 관련된 것이다. 참가자들은 우선 미션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을 설계하는 데 머리를 모았다. ‘투모로우팀’은 로봇본체에서 A모터를 따로 떼어 내기로 했다. ...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수 없으므로 저온에서 저항이 0이 되는 초전도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95% 신뢰도도 부족해충돌 결과는 ATLAS와 CMS라는 두 개의 검출기로 관찰한다. 이 둘은 크기는 다르지만 역할은 비슷해 서로 결과를 검증하고 보완해준다. 힉스는 수명이 매우 짧아 직접 관측할 수는 없다. 약 1조 분의 1초 만에 더 ... ...
- 2012 빛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빛으로만 식물이 튼튼하게 자랄 수는 없어요. 노란색 빛은 광합성에 도움을 주지 않지만, 해충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기도 하거든요. 과도한 빛이 주는 피해! ‘빛공해’햇빛 없이 조명으로 식물을 키우다니, 우리 때는 정말 상상도 못할 일이야! 으…, 갑자기 눈이 왜 이렇게 피로하지? 하루 종일 ... ...
- 독약도 소화시키는 점박이응애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안 해요. 그래서 농촌에서는 우릴 아주 싫어해 없애려고 안달이지요. 방제 대상 1호 해충이랍니다.오호! 딱 마음에 들어. 완전 연구 대상이구나.맞아요. 세계 과학자들도 우리 능력을 인정했어요. 최근에 미국, 프랑스, 캐나다, 벨기에의 생물학자 55명이 유전 정보인 게놈을 해석해 우리들의 식성과 ... ...
- 열대 과일이 주렁주렁~! 온난화 대비 농업 현장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3호
- 감귤을 재배한 뒤, 병균을 접종한다. 그리고 병균에 잘 견디는 감귤을 골라낸다.❷, ❸ 병해충에 강한 감귤의 껍질을 말려 가루로 만든 뒤 다시 액체 상태로 만들어 스포이드로 실험 용기에 넣는다.❹ 실험 용기에 담은 감귤 성분을 컴퓨터로 분석해 그 중 당도가 높은 감귤을 선택한다.아열대 채소 ... ...
- 유전자재조합식품? 그게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7호
- 콩 유전자에 농약을 분해하거나 해충에 잘 견디는 다른 생물의 유전자를 끼워 넣으면, 해충에 강하거나 *제초제를 분해하는 콩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생물의 유전자에 원하는 특성을 가진 유전자를 끼워 넣는 기술을 ‘유전자재조합기술’이라고 한다.*제초제: 잡초를 없애기 위해 사용하는 ... ...
- 이로운 거미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친구들에게만 살짝 알려 줄게!해충, 다 덤벼!집에서 거미가 나타나면 해충이라고 생각해서 죽인다고? 그럼 안 돼, 안 돼~. 거미는 우리에게 피해를 주는 모기나 파리, 바퀴벌레를 잡아먹는 이로운 생물이란다.집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거미는 유령거미야. 집의 구석진 곳에 불규칙한 모양의 그물을 ...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열매를 맺는 시기도 늦어지고 있답니다.기후가 변하면서 갈색여치나 꽃매미 등 새로운 해충까지 나타나 사과와 복숭아, 콩 등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어요. 해조류와 패류의 수도 줄고 있어요. 수온이 따뜻해지면서 먹이가 줄었기 때문이에요. 100년 뒤의 밥상은?"미래의 밥상에 오를 식재료를 ... ...
- 파리도 예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안녕? 난 ‘점박이꽃검정파리’라고 해. 파리라는 이름을 듣자마자 인상을 찌푸리는 친구가 있군!파리를 병을 옮기는 더럽고 징그러운 해충이라고만 생각 ... 한단다. 게다가 이렇게 예쁜 파리들도 많잖아? 그러니 이젠 우리 파리를 그냥 못생기고 더러운 해충으로만 생각하지는 말아 줘~ ...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진료 의견 열과 탄소 농도가 높음. 땅이 메말라 가고 바다 속은 산성화가 진행 중.모기와 해충의 수가 늘어나고 있음. 처음 보는 심각한 바이러스가 곳곳에서 관찰됨.동물의 종류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음. 원인을 제공한 인류는 물과 식량 부족을 호소함. 지금보다 증세가 심각해지면 사망할 수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