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수
하천
뉴스
"
강물
"(으)로 총 150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달랐던 티벳 고원의 형성 과정
2015.04.26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풍경 사진을 담았다. 가운데 땅을 두고
강물
이 굽이쳐 휘돌아간다. 한적한 전원을 포착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 사진은 특별한 연구 성과를 담고 있다. 션 윌렛 스위스연방공대 교수팀은 티벳 남동부 고원지대를 연구한 결과 이전까지 알려진 고원 형성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물방울 아래 이 문장의 마침표만큼 정말 작은 또 하나의 물방울을 발견했을 것이다. 이건
강물
과 호수물만 합친 것이다. 민물 대부분이 지하수란 말이다. 일러스트를 보면 지구의 물이 얼마 안 되는 것 같지만 전체 물방울의 지름은 1400km에 가깝다. 지구 지름이 1만2700km이므로 부피비로 대략 0.15%를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시간은
강물
처럼 흘러 문득 정신을 차려보니 어느새 2014년도 며칠 남지 않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 ...
“신종헌터는 생물역사의 기록자”
과학동아
l
2014.10.14
예로 들어 설명했다. “강 주변 모래톱에는 작은 생물들이 수없이 많이 살고 있습니다.
강물
이 모래톱을 통과하는 동안 오염물질이 걸러지는데, 이 오염물질을 생물이 먹어 없애지요. 만약 작은 생물들이 모두 사라진다면 수질정화능력이 크게 감소할 겁니다. 우리가 지금처럼 모래톱에 무슨 생물이 ... ...
유독가스·전염병바이러스 한 번에 검출한다
2014.08.10
측정하는 걸까. 전염병 바이러스 창궐, 생화학무기 등이 유포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강물
의 국내연구진이 각종 환경연구나 사건사고나 전쟁당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생화학센서’ 개발에 쓸 수 있는 새로운 원리를 찾아내고, 이를 설계기준으로 제안했다.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정기훈 교수 ... ...
수영장에서 ‘쉬~’ 하지 마세요
2014.07.21
멀리 있는 화장실까지 갔다 온다는 건 꽤 번거로운 일이다. 그러다보니 ‘바닷물(또는
강물
)에 한 바가지도 안 되는 오줌을 더한다고 별 일 있겠나’라는 생각에 모르는 척 실례를 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수영장에서도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이런 ‘짓’을 하는 모양이다. 바다나 계곡보다는 ... ...
[총장, 대학을 바꾼다]다국적 기업과 R&D센터 설립, 제2의 퀴리부인 탄생 기대하길
동아일보
l
2014.03.27
예로 들며 이화여대의 특징을 설명했다. 코이가 어항에서는 5cm의 작은 물고기로 남지만
강물
에서는 2m의 대어로 자라는 것처럼 여성이 이화여대를 만나면 큰 인재로 자랄 수 있다고 했다. 김 총장은 이화여대가 남녀공학 대학의 역할을 똑같이 하면서 여성 지도자를 양성할 수 있는 비결 중 하나로 ... ...
달짝지근, 끈적끈적 사탕이 충치 예방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3.12
낚아채 치아에 달라붙지 못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마치 논개가 적장을 안고
강물
속에 뛰어들 듯, 죽은 유산균이 충치균에 달라붙어 식도로 넘어간다는 것. 지금까지 충치 예방은 대부분 충치 원인균을 죽이는데 주목했는데, 이 연구는 충치균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 무력화시킨다는데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2012년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시간은
강물
처럼 흘러 문득 정신을 차려보니 어느새 2013년도 며칠 남지 않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많은 저명한 과학자들은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 ...
흐르는
강물
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윤문근 박사는 “연어가
강물
냄새를 기억해 돌아온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강물
속 특정 입자에 반응하는 유전적 물질을 갖고 있다는 말로 해석하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주장은 연어가 새처럼 ‘자기장’을 활용해 길을 찾는다는 것. 미국 오리건주립대 연구진은 ... ...
이전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