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육지
땅
지상
대지
육지대
토지
뭍
뉴스
"
대륙
"(으)로 총 976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누리가 달에서 보내온 추석 인사…아폴로 착륙지, 지구 모습 '생생'
동아사이언스
l
2023.09.26
당시 달과 지구가 서로 바라보고 있어 달에서 지구의 전면을 촬영할 수 있었다. 호주
대륙
이 영상의 중앙부에서 관측되며 한반도는 당일 짙은 구름으로 가려져 있다. 다누리가 3월 30일 촬영한 아폴로 17호 착륙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다누리가 상공 100km 임무궤도에서 고해상도카메라로 ... ...
비발디 ‘사계’ 2050년 버전...AI가 재창작하니 ‘어둡고 혼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9.22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시작한 글로벌 프로젝트다. 2021년부터 지금까지 서울을 포함한 6개
대륙
14개 도시에서 공연됐다. 이날 공연은 앞선 무대들과는 다르게 KAIST의 기술력으로 새롭게 구성한 곡이 연주된다. 문화기술대학원 석사과정 방하연·김용현(지도교수 남주한)이 각각 데이터 기반 음악 ... ...
인류 식량 파수꾼 호박벌 실종, 이제 시작일 뿐
동아사이언스
l
2023.09.18
0년부터 2014년 사이, 2021년부터 2080년 사이 호박벌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생태 환경이 유럽
대륙
에 얼마만큼 존재할지 조사했더니 시간을 거듭할수록 서식지가 줄어들었다. 2080년대엔 호박벌 서식지의 최소 30%는 사라질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현재 제시하고 있는 ... ...
강진 발생한 모로코 상공에 나타난 '빛'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9.12
기록한 책을 보면 이러한 빛은 수 세기 전 기록에도 남아 있다. 18~20세기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
에서만 지진 관련 공중 발광 현상에 대한 보고가 65건에 달다. 해당 보고들에 의하면 지진광은 하늘 높이 나타나기도 하고, 수평선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몇 분간 지속되거나, 번개처럼 ... ...
북극 온난화 가속시키는 미세 에어로졸 생성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5
기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제대로 밝혀진 바 없었다. 왕 교수 연구팀은 북극
대륙
중심에서 발생한 눈보라에 의해 생성된 미세한 소금 입자가 대기권 에어로졸의 농도를 높이고 구름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냈다. '북극기후연구를 위한 다학제 표류관측소(MOSAiC)'가 북극의 ... ...
남극은 자연 그대로의 공간?…"발암 물질도 검출돼"
동아사이언스
l
2023.09.04
빙산과 빙하로 뒤덮인 지구에서 가장 추운
대륙
이다.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미개척
대륙
인 만큼 지구상에서 가장 깨끗한 곳으로 꼽힌다. 하지만 남극 일부 해저가 항구 수준의 심각한 오염 상태에 처해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나단 스타크 호주 남극연구소 해양생태학자 연구팀은 호주 ... ...
"한국 연평균 초미세먼지 WHO 권고수준 4배"
동아사이언스
l
2023.08.30
지원되고 있다. 반면, 대기오염 개선을 위해 조성된 기금은 턱없이 부족하다. 아프리카
대륙
전체를 위한 대기오염 자선기금은 매년 30만 달러(약 3억 9681만 원) 미만에 이른다 ... ...
[씨즈더퓨쳐] 오펜하이머 그후 78년…핵폭탄 개발자들의 바람, 얼마나 이뤄졌을까
2023.08.27
명예연구위원은 "우주에서 핵실험을 한 이유는 우주를 통과해 날아오는 ICBM(
대륙
간탄도미사일)을 핵폭탄으로 격추하기 위함이었다"고 설명했다. 핵실험은 지구와 인류에도 고통을 줬다. 지상에서 핵폭탄이 떠지면 대기권 상층으로 방사성 물질이 퍼져나가 다시 떨어지는데, 이를 '낙진'이라 한다. ... ...
천연가스 개발 현장이 탈탄소 허브로 탈바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고갈되면 이 파이프라인을 통해 포집한 CO2를 바유운단으로 주입한다. SK E&S 제공. 호주
대륙
의 북단 적도와 가까운 북준주 다윈시내에서 자동차로 40분 가량 떨어진 해안에 자리잡은 다윈항 인근에는 약 60만평 규모의 ‘다윈 액화천연가스(LNG)터미널’이 있다. 16일 오후 찾은 이곳엔 ‘바유운단 ... ...
[표지로 읽는 과학] 1만 년 전 뼈 화석으로 본 신생대 동물 멸종 원인은 '화재'
동아사이언스
l
2023.08.20
사용해 이 뼈 화석들의 주인인 동물이 언제, 어떻게 소멸했는지 확인했다. 당시 각
대륙
의 기후변화와 식생기록을 반영해 생태계적 역학관계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평가했다. 뼈 화석 주인들은 대부분 약 1만2000년 전 갑자기 찾아왔던 한랭기인 '영거 드라이아스기'가 시작되기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