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쾌
명확
확실
분명
뉴스
"
명백
"(으)로 총 2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무줄이 돼버린 방역 대책
2020.09.02
있던 사람들의 전화번호를 파악해서 방역에 사용한 것은 개인정보보호법을 무시한
명백
한 불법 행위였다. 사회 질서를 핑계로 정부가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일은 이제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권위주의 시대의 낡은 악습이다. 바늘구멍으로 황소바람이 들어오는 법이다. 과학적 방역을 무시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이러스기초연구소, 전면 재검토해야
2020.08.19
몰라주고, 과기부·복지부·질병관리본부도 애써 외면하고 있지만 아무도 부정할 수 없는
명백
한 팩트다. 바이오 벤처들의 활약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다양한 항체 진단키트도 개발했고, 치료제‧백신의 개발도 빠르게 진행 중이다. 중증 환자의 치료 기간을 줄여주는 것으로 알려진 ... ...
원폭이 남긴 상흔...피폭된 사람들 어떤 고통 겪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줄기세포가 죽어가고 있다. 이 단계는 최대 몇 주 간 지속될 수 있다. 이후
명백
한 질병 단계로 진입한다. 모든 혈액세포의 수가 줄고 출혈이 발생한다. 식욕부진과 설사, 발열, 탈수 와 같은 증상들을 다시 겪으며 전해질 불균형과 불쾌감, 열감 등의 증상을 겪는다. 심할 경우 경련 및 혼수 상태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라카 원전의 시운전을 지켜보며
2020.08.05
수준의 원전 기술을 개발해낸 탁월한 역량을 가지고 있다. 꿈에서도 잊지 말아야 하는
명백
한 역사적 팩트다. 신재생의 극단적인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가 필요하다. 친환경성이 확인‧검증된 원전을 통해서만 가능한 일이다. 우리가 어떤 기술이나 ... ...
"난 먹어봤자 살아나와"…콩알물땡땡이 슈퍼 생존법
연합뉴스
l
2020.08.04
뉴욕타임스와 회견에서 "이는 콩알물땡땡이가 장 속에서 다리를 이용하고 있다는
명백
한 증거"라고 지적했다. 스기우라 박사는 콩알물땡땡이가 10㎝ 이상 되는 개구리의 장 속에서 다리를 이용해 기어 나오는 '힘든 여정'을 거쳐 항문으로 탈출한 것으로 추정했다. 콩알물땡땡이는 몸을 싸고 ... ...
코로나19 '공기감염 주의보'에 마스크 중요성 더 커진다
연합뉴스
l
2020.07.06
추천했다. 이후 4월에 무증상 감염자도 코로나19를 전염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명백
해지자 CDC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어려운 경우 모든 사람에게 마스크 착용을 권했다. WHO도 이 입장을 결국 채택했다. 코로나19가 급속도로 재확산하고 있는 최근에는 거의 미국 전역에서 마스크 착용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 이후의 교양 교육
2020.06.24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야산에 서식하는 멧돼지가 50만 마리가 넘는 것도
명백
한 사실이다. 42만 명의 화전민을 도시에 정착시키고, 장작 대신 연탄을 연료로 사용한 덕분에 울창해진 숲이 멧돼지의 천국으로 변해버린 덕분이다. 애써 이룩한 인류 문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추도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중구와 코로나19
2020.04.21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호중구가 많은 심각한 질환의 배후에 있다는 사실이
명백
해지면서, 전체적인 면역력을 떨어뜨리지 않은 채 호중구의 이상 행동을 억제하는 약물을 개발하는 연구가 시작됐고 현재 10여 건의 임상이 진행되고 있다. 만일 과학자들이 ‘호중구는 우리의 충실한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클로로퀸'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2020.04.14
NIAID) 소장과 설전을 벌여 언론에 보도되었다. 나바로 국장이 ‘
명백
한 효과’를 주장했지만 파우치 소장은 코로나19 치료효과가 아직 일회적 수준에 그쳐 입증할만한 수준이 아니라고 밝혔다. 말라리아 치료제, WHO ‘연대’ 프로젝트와 ‘R&D 블루프린트’로 관심 지난달 세계보건기구(WHO)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집단면역 이론과 개학 연기
2020.04.01
재생산 지수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사회적 합의를 위한 노력의 출발점이 될 수 있는
명백
한 사실이다. 집단면역 이론을 이용하면 우리가 감수해야 할 위험이 얼마나 늘어날 것인지를 정량적이고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과학적 근거를 공유한 사회적 합의가 훨씬 더 큰 설득력을 발휘한다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