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뉴스
"
밤
"(으)로 총 2,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영상] 208 기가픽셀의 우주 지도
SEIZE
l
2024.10.19
혼합물로 별 사이에 떠 있는 구름처럼 보인다. 유클리드의 목표는 우리은하 바깥
밤
하늘 중 3분의 1을 지도로 만드는 거다. 이번에 공개한 지도는 이 중 1%지만 이미 12%까지 관측을 마쳤고 다음 지도 공개는 2025년 3월로 예정돼 있다. ●씨즈 영상 자세히보기 https://m.site.naver.com/1vzl ... ...
[동물do감] 달빛 피하는 열대우림 포유류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함께 달의 모양이 바뀌는 것)에 따라 활동 수준이나 시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밤
이 되면 지구상에서 가장 어두워지는 열대우림 바닥에서도 달의 밝기가 동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학계는 환경 오염과 도시 개발에 따라 숲이 황폐화되면서 달빛으로부터 몸을 숨길 수 없는 ... ...
달에 착륙할 아르테미스 3호 우주인, 프라다 입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제작됐다고 설명했다. NASA에 따르면 달 남극의 기온은 낮에는 54℃ 이상으로 치솟고
밤
에는 영하 203℃까지 냉각될 만큼 온도 변화가 변화무쌍하다. 우주비행사들은 이 우주복을 입고 최소 8시간 동안 우주 유영을 할 수 있다. 최초의 여성 달 탐사가 목표인 만큼 우주복은 남녀 공용이며 치수에 ... ...
"인공 광합성, 탄소 배출 '0'…화석연료 기반 산업 바꿀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light)으로도 광합성할 수 있다. 적색광을 활용한 광합성은 해가 떠 있는 낮 시간뿐 아니라
밤
에도 광합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태양광만 활용했을 때보다 효율이 10배 이상 높다. 인공 광합성 시스템은 현재 6인치 실리콘 웨이퍼에다가 얇은 태양광 패널처럼 제작된다.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촉매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큰 무대에 서면 몸이 얼어붙는 이유
2024.10.16
수많은 관중 앞에서 홀로 빙판 위에 선 순간 압박감은 엄청날 것이다. 십중팔구 그 전날
밤
에는 잠을 설치지 않았을까. 아무튼 김연아 선수는 실수하지 않고 기량을 100% 발휘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반면 아사다 마오는 그랑프리 파이널 같은 대회에서는 여러 차례 금메달을 땄지만 올림픽에서는 ... ...
19세기 악명 떨친 '차보 사자' 이빨서 식인 근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두 사자는 케냐 차보강에서 철도 교량을 건설하는 노동자들을 위협하고 잡아먹었다.
밤
에 노동자들이 잠자는 텐트를 습격해 공포의 대상됐다. 최소 수십 명을 죽인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영국 중령 존 헨리 패터슨에 의해 두 사자는 사살됐다. 과학자들은 차보 사자가 왜이렇게 사람들을 ... ...
목성 위성 유로파 탐사선, 허리케인 '밀턴'에 발사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허리케인이다. 미국 국립허리케인센터(NHC) 예보에 따르면 밀턴의 중심부가 9일(현지시간)
밤
플로리다 중서부 해안에 상륙해 다음 날 플로리다 중부를 지나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유로파 클리퍼 발사 일정과 겹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NASA는 유로파 클리퍼의 발사 가능 시간대가 11월 ... ...
머스크가 잃은 위성, 태양 재채기 '태양폭풍'이 주범
과학동아
l
2024.09.28
날로 기억한다. 원래도 별을 보는 건 좋아했다. 직업으로 선택할 만큼. 그런데 10일
밤
세계 곳곳에서 오로라가 관측됐다는 내용의 기사가 아침 뉴스를 뒤덮었다. 심지어 한국과 위도가 비슷한 일본에서도 오로라가 관측됐다고 했다. '혹시 우리나라도?' 기대감이 슬며시 올라왔다. 출근을 하자 ... ...
반사율 97% 신소재로 다시 쓰는 이솝우화
과학동아
l
2024.09.28
북위는 24도지만 해발고도가 높은 쿤밍시에서는
밤
과 낮에 각각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밤
에는 1.6℃ 수준이었지만 낮에는 복사 냉각 효과가 3.5~15.1℃에 달했습니다. 함께 연구를 살펴본 김 연구원은 "5~6℃ 수준의 복사 냉각 소재는 많이 보고됐지만 일시적이더라도 15~16℃까지 효과가 나온다는 것은 ... ...
[추모의 글] 故 이진아 교수, 난치암 환자를 구하던 작은 거인
2024.09.23
입학한 장철순 박사와 결혼을 약속했습니다. 장 박사는 유학 전 병역특례기간 3년 동안
밤
시간과 주말을 이용해 우리 연구실에서 일했던 인연이 닿아 이제까지 제자 이상으로 친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이진아박사와 장철순 박사의 박사후연구원 시절 두 사람의 신혼여행지는 하와이처럼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