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객담
탈선
뉴스
"
벗어나기
"(으)로 총 143건 검색되었습니다.
글라이더로 인공위성 쏘아 올리는 세상 온다
2015.02.16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게 될 전망이다. 인공위성 발사 비용의 많은 부분이 지구 중력을
벗어나기
위한 대규모 1단 로켓 제작에 들어가는 점을 감안하면 비용 대비 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특수 설계된 인공위성 발사용 글라이더(바람을 받아 나는 무동력 비행기)를 제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야생동물보다 훨씬 쉬운 먹잇감인 가축이나 가금류에 한 번 맛을 들이면 그 유혹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게다가 이들이 유일하게 두려워하는 대상인 사람은 법 때문에 구조적으로 이들을 공격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늑대복원 추진은 생태계 회복이 아니라 우리의 숲에도 늑대가 살고 ... ...
요즘 드라마 ‘남주’는 왜 다 ‘다중인격’일까
2015.01.23
가능 극 중 차도현이 7중 인격을 갖게 된 이유는 어린 시절 겪은 괴로운 기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다. 과거의 기억에 짓눌리지 않기 위해 자신의 기억을 버리고 타인의 정체성을 얻은 셈이다. 정신의학전문의인 김성찬 서울탑마음클리닉 원장은 “잊고 싶지만 잊혀지지 않는 기억을 피하고 싶을 때 ... ...
자신이 가장 똑똑한 사람일 필요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07.27
독일 정신분석학자 카렌 호나이는 “인간은 기본적으로 내재된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해 잘못된 욕구들을 과도하게 발산하기 때문에 도리어 불안의 딜레마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말했다. 불안을 끌어안은 사람은 남으로부터 사랑받고 인정받고 싶은 욕구, 칭찬받고 싶은 욕구, 힘을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habit circuits)’가 있어서 어떤 행동을 반복하다 이 회로에 걸려들면 습관이 돼 좀처럼
벗어나기
가 어렵게 된다는 것. 습관회로의 존재는 동물실험(주로 쥐)을 통해 밝혀졌지만(산 사람 머릿속에 전극을 넣을 수는 없는 일이다), 글을 읽어보니 사람에서도 큰 차이 없이 적용될 것 같다는 생각이 ... ...
뇌파-안구-심전도 검사… ‘뒤척이는 밤’ 비밀 캐다
동아일보
l
2014.02.17
처방대로 생활한 지 3일이 흘렀다. 나는 다행히 하룻밤에도 몇 번씩 깨는 고통에서 점차
벗어나기
시작했다. 약물을 먹지 않고도 깊은 수면을 이룬 지 이틀이 흘렀다. 조 교수는 “양질의 수면은 좋은 수면 습관을 들이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수면장애가 의심되면 절대 망설이지 말고 병원을 방문해 ... ...
황우석을 바라보는 두 시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보내는 게 아니다. 물론 공격하는 것도 아니다. 단지 희귀한 사건, 즉 불명예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성공을 거둔 한 과학자에 대한 이야기다. 이건 저널리즘 활동이지 과학적 지지가 아니다. 그리고 황 박사가 인간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고 주장한 첫 논문-지금은 ... ...
[책의 향기/글로벌 북 카페]아이를 망치고 싶다면 스마트폰을 던져줘라
동아일보
l
2014.01.12
찾는 두뇌 훈련을 하게 된다. 부모들이 바쁘다는 이유로, 아이들의 보챔에서 잠시나마
벗어나기
위해 손쉽게 스마트기기를 던져 주는 것은 그 귀중한 기회를 빼앗는 것과 다름없다. 저자는 네 살짜리 아이가 혼자 신발을 신는 일보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려받는 법을 먼저 배우는 것을 ... ...
"창조경제 성공하려면 정치인은 좀 빠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13.12.12
개발에 큰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이다.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를
벗어나기
위해 국가 연구개발 투자는 늘리고 있지만 선도적 위치로 나가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초과학 수준에 대해 김 교수는 “기초과학의 역사가 짧기 때문에 선진국들과 정면승부는 힘들다”고 ... ...
‘이’는 알고 있다, 과거 당신이 무엇을 했는지…
과학동아
l
2013.11.25
약 8만~17만 년 전에 갈라졌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인류가 약 8만~5만 년 전에 아프리카를
벗어나기
전부터 옷을 해 입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이와 함께 이 자체의 진화를 추적한 결과 몸니는 크게 세 분류군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약 200만 년 전과 70만~100만 년 전에 각각 새로운 분류군이 등장한 ... ...
이전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