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각
시력
과시
나타내기
뉴스
"
보이기
"(으)로 총 57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주어진 상황을 어떻게 해석해야할까
2022.05.14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창의성 테스트를 실시했을 때 더 높은 창의력을
보이기
도 했다. 또 스트레스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 사람들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 사람들 사이에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 수준은 차이가 없었지만, 근육의 성장에 관여하는 아나볼릭 호르몬은 ... ...
짙은 안개 껴도 사람·사물 뚜렷이 식별하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28
기존 개발된 영상인식 기술은 깨끗한 날씨의 영상에서 사람 수준의 구분 능력을
보이기
도 하지만, 많은 비나 안개가 끼는 등 명확한 구분이 어려운 영상에서는 여전히 뚜렷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연구팀은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새로운 영상인식 AI 모델 학습 방법을 개발했다. 새로운 ... ...
[2022 필즈상 후보] (6) 미분기하학의 기대주 쑨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
수학동아
l
2022.04.16
나타내는 ‘K-안정성’이었습니다. 그간 수학자들은 켈러 아인슈타인 계량의 존재성을
보이기
위해 해석기하학의 도구를 이용했는데, 쑨 교수와 연구자들은 대수기하학의 도구인 K-안정성에 눈을 돌린 겁니다. 그 결과 파노 다양체가 켈러 아인슈타인 계량을 가질 필요 충분 조건은 K-안정성임을 ... ...
사용후핵연료 심층처분 기술 전문가 이창수 원자력연 선임연구원 '이달의 과학기술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발생하는 열적, 수리적, 역학적인 거동은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복잡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이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처분장 부지선정과 설계가 필요한 것이다. 이 선임연구원은 기존 심층처분시스템 복합거동 예측 시뮬레이터들의 단점인 긴 해석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성을 높인 열 수리 ... ...
세 가지로 보이는 사진
팝뉴스
l
2022.03.29
보이는 그림이다. 우선 내려 가는 계단으로 보인다. 반대로 높이 오르는 계단처럼
보이기
도 한다. 그리고 평평한 통로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다. 혼란스러우면서도 신기하다고 해외 네티즌들은 사진을 평가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 ...
[우주산업 리포트]우크라이나 전쟁은 우주기업 스페이스X에 무슨 기회를 주었나
2022.03.04
간 우주협력의 위기가 스페이스X에게는 비즈니스를 확장할 절호의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① 국제우주정거장 운영에 참여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달 28일 “러시아의 도움 없이 국제우주정거장(ISS)의 고도를 유지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러시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온라인에서 타인의 삶을 망가뜨리는 사람들
2022.02.20
학성이 높고 잔인한 사람들은 타인이 입은 피해를 실제보다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기
도 한다. 누군가를 상처주고서는 “장난쳤을뿐인데 예민하게 군다”며 타인의 아픔을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것이한 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생활 제로 시대의 진화심리학
2022.01.25
마련해 준다. 이런 조치가 없다면 동물은 만성 스트레스로 고통받고 때로 이상행동을
보이기
도 한다. 사람 역시 마찬가지로 하루에 얼마는 혼자이거나 편한 상대와 함께 하는 사적 시간을 가져야 심신의 스트레스가 해소된다. 그리고 이런 사생활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본능적으로 행동한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불확정성 원리를 둘러싼 논란
2022.01.20
상호배타적인 성질이다. 미시세계의 전자는 입자의 성질을
보이기
도 하고 파동의 성질을
보이기
도 하지만 두 가지 성질이 동시에 드러나지는 않는다. 빛, 즉 광자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상보성은 ‘그리고’가 아니라 ‘또는’의 성질이다. 불확정성의 원리도 상보성의 한 사례에 속한다. 위치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나를 실적 달성 도구 보고 착취할 때 이득을 보는 건 내가 아니다
2022.01.01
경우 시작하기도 전에 좌절만 쌓고 “역시 난 안돼”라며 자기효능감만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기
일쑤다. 지나치게 높은 목표 →지나치게 잦은 좌절→재미, 동기 상실과 자기효능감(자신감) 하락→ “난 어차피 안 될 거야”로 귀결되는 사이클이다. 흔히 어떤 일을 해야 한다는 스트레스는 정말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