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지
생육지
서식환경
자생지
원산지
본바닥
뉴스
"
서식지
"(으)로 총 49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가 6년간 쌓은 데이터로 매미 생태 추적했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2.15
매미 지도를 만들어 한 눈에 매미 종과 관찰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
서식지
에 따른 매미 종별 분포 : 도시화가 진행된 곳보다 숲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Q. 분석 결과로 알수 있었던 점은. "인간의 편익을 위해 진행해왔던 개발에 생물들이 그대로 영향을 ... ...
'지구사랑탐사대'가 이어준 인연...생태 연구자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2.13
집 주변에 있던 김포공항 인근에 골프장이 지어지면서 수원청개구리의 자연 속 마지막
서식지
가 파괴되는 걸 목격했죠. 초등학생이던 두 사람은 함께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하고 험지를 탐사하며 환경을 향한 마음을 키웠습니다. 이제는 고등학교 3학년, 대학교 1학년 청년이 되어 장이권 교수의 ... ...
우주식량·인공장기 만드는 3D프린터...우주 개척에 날개 단다
과학동아
l
2023.02.04
● 날개5. 거주지 건설 2022년 11월 NASA는 스타트업 아이콘(ICON)과 달 표면에 착륙장,
서식지
, 도로와 같은 인프라를 3D 프린팅 방식으로 구축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아르테미스 프로그램과 같은 장기 유인 탐사 계획엔 기지 건설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건축에 필요한 화물을 우주까지 ... ...
잠 줄이며 짝짓기에 목숨 걸다 멸종위기 놓인 호주 동물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나눈다. 현재 북부 쿠올의 야생 개체수는 약 10만 마리 수준이지만 외래종의 위협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42일간 호주 북부의 섬인 '그루트 아일랜드'에서 야생 상태의 북부 쿠올 13마리(수컷 7마리, 암컷 6마리)에게 추적기를 장착한 뒤 움직임을 ... ...
한국은 공룡 발자국 천국...40년간 고생물학 지평 넓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2.17
추측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는 당시의 퇴적 환경과 해당 종이 서식했던
서식지
환경도 발자국 화석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했습니다. 또 “이렇게 분석된 발자국이 기존에 발견된 발자국인지, 새롭다면 비슷하고 다른 점은 무엇인지 모두 다 디테일하게 분석해 ‘신종’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전 세계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는 코로나19 팬데믹도 탄소 때문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서식지
를 빼앗긴 박쥐가 인간에게 보복하는 과정에서 팬데믹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물론 기후 변화를 걱정하는 환경주의자들이 들먹이는 ‘탄소’는 화학에서 사용하는 원자번호 6번의 ‘탄소’가 아니다. 오히려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시민과학 페스티벌 열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1.21
참여했던 중국 난징입업대 아마엘 볼체 교수는 이날 행사에 방문해 “연구자들이 모든
서식지
를 조사할 수 없기 때문에 시민과학이 필요하다”며 “10주년을 맞이한 지구사랑탐사대가 정말 멋지고 뿌듯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자연을 보호하려면 먼저 자연을 배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 ...
과학자·시민, 환경·안전·보건 문제 해결 힘 합쳐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1.17
법의곤충) 비교 연구를 한 오손도손 팀. 이외에도 피라미속 어류의 분포양상과
서식지
특성을 연구한 도리뱅뱅이 팀, 합리적인 전기차 충전소 설치를 위한 주차장 머무름 시간 연구를 한 머무름 팀, 제주도 용천수 수질오염도에 따른 미끈망둑속 ... ...
문어는 화가 나면 상대에게 조개껍데기를 던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0
군집생활을 한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야행성 동물인 문어는 낮에는 천적의 위협을 피해
서식지
에서 함께 쉬다가 밤이 되면 사냥을 떠났고 간혹 한 개체가 쫓겨나는 일도 있었다. 고프리스미스 교수는 논문에서 "문어가 생각보다 더 사회적 상호작용을 많이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 ...
위기의 탄소저장고 '이탄지'…기후변화로 몸살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보르네오 오랑우탄'의 개체수가 최근 60년간 60% 이상 급감한 이유로 이탄지 파괴로
서식지
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탄지가 석유·가스 채굴 등 무분별한 자원개발과 환경오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일례로 2020년 인도네이사 정부가 이탄지를 포함한 서울 면적 2.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