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성
융통성
탄력
뉴스
"
신축성
"(으)로 총 156건 검색되었습니다.
땀이 차도 불편 없는 숨쉬는 전자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만들고 체온과 근전도 등 생체신호 수집에 성공했다. 이 나노섬유 전자피부는
신축성
이 좋아 손가락 관절 등의 부위에도 잘 붙고, 나노 사이트 구멍을 통해 공기와 체액이 순환할 수 있다. 별도 접착제 없이 물을 이용해 쉽게 몸에 붙일 수 있다. 이성원 교수는 “나노섬유 기반 전자피부를 1주일 ... ...
무선통신 가능한 ‘전자피부’, 세계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7.11
모방해 미세한 전기가 흐르는 ‘전도선’을 전자피부 속에 새겨넣었다. 스프링 구조의 고
신축성
전도선, 초연성 재질의 신소재를 이용해 컴퓨터의 기본 구조를 갖출 수 있었다. 얇고 부드러우면서도 반창고처럼 손쉽게 붙일 수 있고 손톱보다 작은 초소형 전지 하나만 연결하면 수일 동안 동작한다. ... ...
투명 콘택트렌즈로 혈당, 안압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7
일부 시야를 가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투명도가 높고
신축성
이 좋은 2차원 탄소 소재 그래핀과 금속 나노와이어로 전극을 만들어 센서를 완성했다. 이 센서를 삽입한 투명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토끼 눈에 끼워 혈당과 안압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는 데 성공했다. ... ...
[카드뉴스] 세계의 면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23
pH7이 넘는 알칼리성입니다. 알칼리는 글루텐에 특이한 변성을 일으키면서 반죽의 점성과
신축성
을 높이고 밀가루의 플라보노이드 색소를 황색으로 변하게 합니다. 일본의 우동 우동은 치대기와 저온 숙성 과정을 반복하여 글루텐 구조가 매우 치밀하게 형성됩니다. 반죽 덩이를 손으로 누르면 다시 ... ...
피부처럼 유연한 박막트랜지스터(TFT)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개발한 소프트 TFT는 원래 길이의 2배까지 늘여도 전기전도도에 거의 변화가 없을 정도로
신축성
이 좋다. 옷을 짜듯이 비틀거나 뾰족한 물건으로 찔러도 기존 실리콘 기반 반도체 소자와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 힘껏 잡아당겨 늘이면 전기전도도가 평상시보다 약 6.8% 감소했지만 성능에는 지장이 없는 ... ...
1000번 이상 접었다 펼 수 있는 트랜지스터 나왔다
2016.11.30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무줄처럼 잡아당겨도 본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신축성
트랜지스터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3일자에 게재됐다. ... ...
추녀와 미녀로 급변신하는 얼굴
2016.09.19
변장하게 된다. 올가 카티쉐바는 망가지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담대함과 얼굴의
신축성
(?)이 상당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손목에 찼다가 펴서 스마트폰으로…코 앞으로 다가온 디스플레이 혁명
2016.06.19
디스플레이를 앞쪽으로 구부리면 뒷면이 늘어나고, 뒤로 구부리면 앞면이 늘어난다.
신축성
이 있는 소재가 필수라는 의미다. 이렇게 접어지는 부분의 화질 저하 문제도 걸림돌이다. 보통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하기 위해 유리를 덧대는데, 이 유리는 강제로 접으면 깨진다.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전극 개발
2016.06.13
와이어간 저항 문제도 해결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투명전극이 달성한 전기전도성과
신축성
은 모두 세계 최고 기록이다. 윤 교수는 “이 투명전극은 구부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늘려도 전기전도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투명디스플레이뿐 아니라 차세대 태양전지, 각종 첨단센서 등에 ... ...
박테리오파지는 숙주에 어떻게 침투하나
2016.05.22
145개로 이뤄진 박테리오파지의 꼬리를 상세히 관측한 것이다. 박테리오파지의 꼬리는
신축성
좋은 튜브(관)를 용수철처럼 생긴 덮개가 감싸고 있는 모양이다. 꼬리 끝 부분을 막고 있는 ‘기저판’ 주변에는 거미 다리처럼 생긴 ‘꼬리섬유’가 있는데, 이 꼬리섬유가 박테리아의 표면을 뚫는 데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