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뉴스
"
연구자
"(으)로 총 5,770건 검색되었습니다.
"출연연 중심의 대규모 AI 연구개발 체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세미나는 '출연연 AI 연구개발 현황과 국가기여 발전방향'과 'AI 기술을 활용한 출연연
연구자
연구몰입환경 조성 방향' 등 2가지 주제로 진행됐다. 이용주 ETRI 시각지능연구실 실장은 “AI반도체, AI-Powered 휴머노이드, AI 안전 등 AI 관련 산업의 집약을 통한 선순환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 ...
"모든 정부부처가 AI 하겠다는데 손발 안맞아…국내 AI 인프라 처참"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이렇게 시작하는 것은 좋다"고 평가하며 "GPU 깔았다고 다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국내
연구자
들이 미국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해외 빅테크 기업 GPU를 사용할 수 있는데 국가AI컴퓨팅센터를 만들어 놓고 GPU 사용료가 더 비싸면 의미가 없다는 설명이다. GPU 확보만큼 이용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 ...
슈퍼양자컴퓨팅·정밀 암 유전자 분석…글로벌 톱 전략연구단 10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경쟁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연구성과가 산업과 사회로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
연구자
가 자율성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연구환경 조성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 ...
세계 10위 가시권 슈퍼컴 6호기 내년 구축…GPU 8496장 탑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전망된다. 현재 공공 부문에서는 공동 활용이 가능한 고성능 GPU 인프라가 매우 부족해
연구자
들이 AI 모델 개발, AI 활용 연구 등에 필요한 고가의 GPU를 개별로 구매하거나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를 R&D 연구비로 충당해야 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과기정통부는 슈퍼컴 6호기 구축이 완료되는 ... ...
파도 헤치며 고래 추적…네이처 '2025년 일하는 과학자' 사진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수상작에는 시베리아 동부에서 현장 조사를 마치고 숙소로 돌아가는 중국 지질과학대
연구자
의 뒷모습이 담겼다. 연구팀은 금 광맥 근처의 지질 프로필을 개발해 광물 탐사자들에게 도움을 준다. 사진을 촬영한 지아이 왕 박사과정생은 "지질학자들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 수년간 작업해야 하며 ... ...
김남균 전기硏 원장 "평가용 특허 출원, 부끄러운 일"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따라 발전은 빠르게 이뤄진다. 유럽 등에서 반도체 전력 소모에 대한 규제를 제시하고
연구자
들이 마음 먹기 시작하면 칩 소모 전력을 금방 줄일 것으로 예상한다. 앞으로 AI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겠지만 반도체 칩당 전력 사용량도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Q. 연구원이 ... ...
대선 레이스 돌입…이재명·김문수·이준석 과기 공약 점검해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5.05.12
이용 시 외교관 수준의 패스트트랙을 보장하는 제도를 신설한다. 이공계 우수
연구자
에 대해서는 충분히 국가가 우대하고 포상하겠다는 것이다. 지난 7일 이준석 후보는 KAIST를 찾아 '3부총리제'를 통해 지난 정부의 R&D 예산 삭감 같은 의사 결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 ...
30년 고등과학원·40년 과학동아…과학계 두 헤리티지, 손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12
인식과 공감은 AI 시대로 전환하고 있는 현재에도 사회의 중요한 자산이다. 고등과학원
연구자
들의 성과에 담긴 매력적인 스토리를 대중과 나눌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로 탄생시켜 기초과학의 가치 확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
싱크홀 공포 엄습…"지하공사 계측 ‘구멍’부터 없애야 예방"
동아사이언스
l
2025.05.12
최근 잇단 땅꺼짐(싱크홀) 사고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국내
연구자
들은 지하 공사 시 활용할 수 있는 계측 고도화 기술, 굴착 시 구조물 위험도 평가 기법을 지난해 개발 완료한 것으로 확인됐다. 싱크홀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이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개발된 기술이 ... ...
"의정갈등 여파로 생긴 의학연구 공백은 10~20년 간다"
과학동아
l
2025.05.10
의사가 있어야 해당 연구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사가 떠난 자리를 비(非)의사
연구자
가 메울 수 없기에 의학에 기반한 여타 과학계의 연구 공백이 더욱 커질 거란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 교수는 "의학과 연관된 여러 기초·응용 과학 수준도 떨어져 과학 후진화가 더 커질 것"이라고 우려의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