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체염색체
인체
뉴스
"
염색체
"(으)로 총 45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편집 기술로 실험동물 암수 결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3
태어나게 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반대로 가이드 RNA를 생쥐 정자의 X
염색체
에 집어넣으면 수컷만 태어나게 된다"며 "유전자 편집기술이 작동한 배아는 16~32개 세포 이상 발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100% 성별을 결정하는 데 성공했으며 태어난 새끼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초파리에게 간헐적 단식을 시켜보니
2021.10.19
따르면 그렇다는 말이다. 1971년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를 발견한 벤저와 코놉카는
염색체
에서 per 유전자가 있는 위치를 알아내는 데서 그쳤다. per 유전자의 실체(염기서열)는 1980년대 다른 연구자 세 사람이 밝혔고 이 업적으로 이들은 2017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벤저와 코놉카는 이미 ... ...
[표지로 읽는 과학]포유류 뇌에서 공통점을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09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만 258명이나 된다. 이들이 4년간 분석한 뉴런은 220만 개가 넘으며
염색체
유전정보도 100만 개가 넘는다. 지난달 28일 기준으로 아카이브에 저장된 분자 데이터만 85만 292개로 저장공간이 478Tb(테라바이트·1Tb는 1조 바이트)나 쓰였다. 연구팀은 뉴런 간 계층구조와 함께, 뉴런을 ... ...
[2021노벨상]코로나19 백신 개발 기여한 mRNA·NGS 노벨상 받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이론을 처음 제시했다. 1990년 킹 교수는 유전성 유방암의 원인인 BRAC1 유전자를 17번
염색체
에서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킹 교수의 연구를 통해 많은 여성이 유방암과 난소암을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었다. 면역세포인 B세포와 T세포를 발견한 맥스 쿠퍼 미국 에모리대 의대 에모리백신센터 교수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점점 밝혀지는 인간 게놈, 새로운 치료 시대 열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6
1cm당 180만 개의 염기를 표현했다. 각각의 색깔은 1번에서 22번
염색체
까지와 X, Y
염색체
를 각각 나타낸다. 굵은 선은 유전적으로 활성화된 부분을 나타냈다. 중간중간 원은 암에서 발견되는 멘델 장애나 유전적 돌연변이와 관련된 유전자를 뜻한다. 멘델 장애는 DNA 구조에 돌연변이가 발생해 병으로 ... ...
[인터뷰]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21.09.11
노화의 대표적인 내재적 요인으로 알려진 것은 텔로미어(telomere)의 단축이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끝단의 DNA 영역으로 세포분열을 거듭할수록 짧아지며 세포 노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하지만 모든 생명체에서 텔로미어 단축이 노화의 원인은 아니다. 적어도 우 교수의 연구 분야인 ... ...
세계 최초로 긴급 승인된 印 코로나19 DNA 백신...주삿바늘 없애고 효능 66.6%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때 필요한 열쇠 격인 스파이크단백질의 DNA를 실었다. 플라스미드는 세균이 자기
염색체
외에 추가적으로 갖고 있는 물질로 스스로 복제할 수 있어 세균끼리 유전자 전달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면 특정 DNA를 체내에 주입하는 DNA 백신을 만들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가능한 얘기지만 지금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감자 많이 먹으면 지구가 건강해진다
2021.08.24
보일 수 있다. 이를 잡종강세(hybrid vigor)라고 부른다. 부계와 모계에서 서로 꽤 다른
염색체
를 받아 이형접합성이 커지면서 평균적으로 이로운 유전자의 영향은 늘어나고 해로운 유전자의 영향은 줄어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게놈 디자인으로 만든 근교계 감자인 A6-26과 E4-63을 교배해 얻은 잡종 H ... ...
[의학바이오게시판] 암환자 커뮤니티 기반 앱 개발·실증 시민해결단 위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24
유산이 우려되는 부부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착상전 배아 유전 검사’다. 유전적으로
염색체
가 정상인 건강한 배아를 선별해 시험관아기 시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정상적인 태아가 임신 되도록 돕는다 ... ...
남녀 성비 1:1 유지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0
발현은 증가하고 Y
염색체
유전자의 발현은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테쉴이 Y
염색체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통해 성비 균형에 관여한다는 뜻이다. 조 교수는 “긴 비암호화 RNA는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조직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만큼 질병 진단 바이오마커나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