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뉴스
"
옆
"(으)로 총 1,29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려진 붉은 달
옆
으로 고개 내민 천왕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1.09
개기월식 순간의 달과 왼쪽에 천왕성. 천문연 제공 8일 저녁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진 달이 다시 천왕성을 가리는 드문 천문현상이 관측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박영식 천문연 책임연구원이 촬영한 개기월식 순간의 달과 천왕성의 사진을 8일 공개했다. 이날 저녁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가 동시 ... ...
약물 투여, 뇌 신호 실시간 측정...'브레인칩'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쓰고 있다. 연구원이 노트북을 조작하자 실험 쥐는 먹이 먹는 행위를 멈췄다. 케이지
옆
에 놓인 컴퓨터 화면에서는 실험 쥐의 뇌 신호가 변했다는 그래프가 요동치고 있었다. 뇌공학연구실을 이끄는 조일주 고려대 의대 교수는 “쥐가 쓰고 있는 모자는 바로 ‘브레인칩’”이라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로 위기에 처한 ‘청개구리’
동아사이언스
l
2022.11.05
제공 이번주 네이처는 코스타리카에 서식하는 청개구리를 표지에 실었다. 청개구리
옆
에는 커다란 글자로 ‘열 스트레스(HEAT STRESS)’라고 적었다. 한눈에 봐도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청개구리와 같은 생명체를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려고 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요한스 ... ...
'공 굴리며 좋아했지'…호박벌도 놀며 즐길 줄 안다
연합뉴스
l
2022.10.28
한 공간에 호박벌 45마리를 풀어놓고 먹이가 있는 곳에 방해받지 않고 곧바로 기어가거나
옆
으로 벗어나 나무 공을 갖고 노는 것을 선택할 수 있게 했다. 나무 공을 단 한 번만 굴리고 만 개체가 있는가 하면 많게는 117번이나 굴린 개체도 있었는데, 공을 반복적으로 굴리는 것은 무언가 보상을 ... ...
머릿속 상상으로 작동하는 로봇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경기장 바깥에서는 사람들의 함성소리들을 구분할 순 없지만 경기장 안에 들어가면
옆
의 관중이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 수 있다고 비유했다. 연구팀은 측정한 상상 뇌 신호에 기계학습 기법을 더해 측정 정확도를 높였다. 그 결과 환자가 상상한 팔 뻗기 방향을 약 80% 정확도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 ...
[탄소중립 최전선] ③원유·가스 얻고 탄소 저장하고...캐나다 탄소저장 키워드는 ‘경제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0.19
쌓인 빙하에서 생성된 퇴적물과 섞인 레이크 루이스는 에메랄드 빛을 띠고 있다. 호수
옆
편으론 관광객들이 다니지 않는 샛길이 있다. 1시간쯤 험준한 길을 따라 올라가면 산 중턱에 잘게 쪼개진 암석 무더기가 나타난다. 퇴적암 중에서도 촘촘한 입자를 가진 암석 셰일이다. 진흙 등이 굳어져 ... ...
강원 정선 지하 1000m에서 우주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예미랩 구축사업은 2017년 1월부터 시작됐다. IBS는 2014년부터 강원 양양 양수 발전소 터널
옆
에 지하실험실을 두고 암흑물질과 중성미자 연구를 해왔으나 규모가 작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예미랩 구축 사업을 추진했다. 예미산에 이미 뚫려 있는 한덕철광 광산갱도를 활용했다. 600m까지 뚫려 있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움 요청을 꺼리는 이유는..."약해 보일까봐"
2022.09.24
보니 많은 사람들이 두려움과 민망함의 벽을 넘지 못하고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이 바로
옆
에 있어도 도움을 구하는 데 실패하고 만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장벽의 존재를 잘 모르고 있다. 나 역시 일련의 과정을 거치고 나서야 도움을 구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려운 일임을 ... ...
모래에서 물이 나온다...샌드댐 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물로리 지역에 국내 최초로 '바이패스' 형 샌드댐을 시공했다. 바이패스 방식은 하천
옆
바닥이나 변두리의 자갈, 모래층에 함유된 물(복류수)을 간접 취수하는 방식이다. 빠르게 흐르는 계곡을 직접 막을 경우 댐 유실 같은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간접 취수 방식을 적용했다. 샌드댐 건설이 ... ...
태양의 서커스인 줄…호주 거미, 기막힌 곡예로 개미 사냥
연합뉴스
l
2022.09.20
발견했다. 연구팀의 알폰소 아세베스-아파라시오 교수는 우연히 유칼립투스 나무
옆
을 지나가다가 나무가지 위에 있던 거미가 자기 몸집보다 3배나 큰 개미를 단숨에 거미줄로 낚아채는 모습을 목격했다. 거미 주변의 개미들은 나무가지 위에서 감쪽같이 사라졌는데 이후 거미줄에 묶여 나무에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