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전
뉴스
"
온전
"(으)로 총 225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코리포트]영구동토가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1.24
Amos Chapple/RFE/RL 2019년 11월 29일, 러시아 동토층에서 한 개과 포유류 미라가 발견됐습니다.
온전
한 모양을 갖춘 것은 물론 털과 수염, 눈썹까지 완벽하게 보존돼 있었습니다. 러시아 북동연방대학교 세르게이 페도로프 연구원팀은 2018년 여름, 시베리아 동쪽의 야쿠츠크에서 이 미라를 처음 발견했는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커피의 치매 예방 효과
2020.01.07
매력이 없고 따라서 “향기가 손상된 디카페인 커피를 마시느니 하루 한 잔이라도
온전
한 커피를 마시는 쪽을 택하겠다”고 썼다. 실제 지금까지 필자는 디카페인 커피를 마셔본 적이 없다. 디카페인 커피는 1905년 처음 나왔는데 유기용매로 카페인을 추출했다. 이 방법은 지금도 널리 쓰이고 ... ...
5700년 전 껌 화석의 주인은?
과학동아
l
2020.01.02
주식으로 삼았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슈뢰더 교수는 “뼈가 아닌 껌 화석에서
온전
한 유전체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며 “지금은 분석하기 힘든 고대 인류의 구강질병, 식습관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되면서 쓸모가 없어진 관련 유전자들이 퇴화했고 그 과정에서 용케 아직까지 구조가
온전
한 유전자 다섯 개가 남아있는 것 아닐까. 수천 년 전 고고학 발굴지에서 가끔 깨지지 않은 토기가 발견되는 것처럼 말이다. 생쥐의 페로몬 감지 메커니즘 규명에 대한 해설을 읽다가 문득 ‘후각망울이 없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내용이다. 폐순환을 다시 언급한 사람은 250여 년 뒤인 16세기 유럽의 세르베투스였다.
온전
한 혈액순환론이 나오려면 17세기 영국의 하비까지 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억할만한 이슬람의 과학자는 이븐 알 하이삼(965~1040년)이다. 알 하이삼은 과학, 철학, 종교 등 다방면에서 많은 업적을 남긴 ... ...
약 380만년전 두개골 화석으로 '루시' 조상 얼굴 복원
연합뉴스
l
2019.08.30
화석밖에 없어 자세한 내용을 알 수는 없었다. MRD는 두개골은 물론 얼굴 부위도
온전
히 남아있어 A. 아파렌시스인 루시와 형태학적 비교가 가능했다. 두개골 화석의 주인은 남성으로 얼굴의 중간 아랫부분이 앞으로 나와 있는 것과 달리 루시는 얼굴 중간 부위가 MRD보다 더 평평해 현생인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Prometheoarchaeum syntrophicum)’이라는 학명을 붙인 뒤 균주 ‘MK-D1’으로 불렀다. 녀석의
온전
한 게놈을 해독한 결과 ‘로키’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MK-D1의 모습은 실망스러웠다. 오늘날 아스가드 고세균이 20억 년 전 (미토콘드리아가 될) 박테리아를 식작용(phagocytosis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분해되는 비율을 조사한 결과 디곡신 분해력이 약한 6명의 평균은 13%인 반면(따라서 87%는
온전
하다) 분해력이 강한 14명의 평균은 96%에 이르렀다(불과 4%만 남았다). 다만 디곡신 분해에는 섭취한 음식의 단백질 함량 등 다른 요소도 관여하기 때문에 실제 개인차는 이 정도로 극단적이지는 않을 ... ...
[주말 고고학산책]냉동인간 ‘외치’는 왜 알프스 계곡에서 숨을 거뒀나
2019.06.22
앞에 모습을 드러난 것입니다. 슬프지만, 이런 사고 때문에 외치의 몸은 빙하 속에서
온전
히 보존되었습니다. 그리고 반만년의 세월이 지나 다시 모습을 드러낸 외치는 현대인에게 당시의 모습에 대해 그 누구보다 자세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2호(6.15발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이 가운데 하나가 최종적으로 벤즈알데하이드와 시안화수소(hydrogen cyanide)로 분해된다.
온전
한 씨에서도 이 반응이 약간 일어나기 때문에 벤즈알데하이드 냄새가 느껴지는 것이다. 시안화수소는 강력한 독소로 치사량이 몸무게 1㎏에 0.6~1.5㎎ 수준이다. 만일 스위트 아몬드가 아니라 비터 아몬드를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