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비
비론
유비추리
추리
추론
짐작
뉴스
"
유추
"(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짬짜면 과학 교실] 그믐과 보름
2017.12.30
개는 존재할 거라고 믿는 과학자들이 많답니다. 우주의 구성 물질과 그 운동 현상으로
유추
해 보면 지구 같은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아주 적지는 않답니다. 우주는 무한히 넓고 별들은 무수히 많으니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려면 우리 태양계처럼 수십 억 년째 활활 타오르는 태양 같은 ... ...
[테마가 있는 영화] 사회생활 잘하는 법, ‘인턴’
2017.11.11
우리나라 사람들 역시 여기에 깊이 공감했다는 것은 영화의 놀라운 흥행 수치로
유추
해 볼 수 있다. # ‘인턴’이 보여주는 사회생활 잘하는 법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주) 제공 우리는 흔히 “사회생활 잘한다”는 말을 아부 잘하고 상사 비위 잘 맞추는 것 정도로 생각한다. 그리고 이것은 나이 ... ...
영장류가 야행성 버리고 낮에 다니기 시작한 때는?
동아사이언스
l
2017.11.07
“생물들의 진화적인 행동 패턴의 변화 시기를 통해 당시의 생활 환경과 기후 등 을
유추
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이를 명확히 밝히기 위한 추가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세계 최초 동물 우주비행사 ‘라이카’ 60주기
동아사이언스
l
2017.11.03
유전적으로 인간과 비슷해 우주 환경이 인간의 유전에 미칠 영향을 어느 정도
유추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주여행을 마친 초파리의 자손들까지 연구해 우주 환경이 세대에 걸쳐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디즈니가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프베스는 영화 상영과 동시에 적외선 카메라로 관람객의 표정을 평가해 감정 상태를
유추
한다. 실제로 디즈니는 ‘빅 히어로’ ‘정글북’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같은 영화를 상영하며 관객 3179명의 표정을 분석했다. 프베스는 초반 몇 분의 분석만으로도 관람객들이 전체적 영화 평을 ... ...
망가진 아이폰 666개를 모은 예술가
팝뉴스
l
2017.08.01
납작한 유리상자에 담아서 전시했다. 관객은 이를 보고 실제로 작품이 제작된 방식을
유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666개일까? 666은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그 숫자 아니었던가? 그녀의 설명에 따르면, 6이라는 숫자는 인간 모두에게 내재한 불완전성을 상징한다. 아이폰도 우리 인생도 ... ...
남겨진 DNA로 범인 행동 분석까지…진화하는 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7.07.28
일부임을 밝혔다. 런디가 가까운 거리에서 부인의 머리를 내리쳤다는 구체적 행동을
유추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결과 런디는 15년 만인 2015년 결국 실형을 선고받았다. 이 교수는 “RNA보다는 DNA가 적은 양의 시료로도 분석 가능해 수사현장에 적용하기 유리하다”며 “최근 과학수사에서 ... ...
[백개사전 10] 어떤 개를 키울지 고민이라고요? 일단 ‘푸들’을 추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08
새끼 때는 주먹만합니다. 부모 푸들의 크기를 보면 새끼가 다 자랐을 때 크기도
유추
가 가능하므로 부모견을 보고 크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털 색도 선택지가 많습니다. 전통적으로 흰 개를 좋아하는 우리나라 특성상 흰 푸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만 최근에는 다양한 털 색을 가진 푸들이 많이 ... ...
[백개사전 09] 명령받는 것을 좋아하는 영리한 개, ‘보더 콜리’
동아사이언스
l
2017.06.24
쓰였던 개였습니다. 이쯤 되면 보더 콜리가 어떤 성격을 가졌는지 자연스럽게
유추
가 되겠지요? 사람 명령을 익히는 것을 좋아하고, 가축을 몰면서 뛰어다니는 개였던 만큼 움직이는 것을 좋아하는 활달한 성격입니다. 여기에 더해 다른 동물을 자신의 뜻대로 몰아가는 것도 좋아합니다. 보더 콜리 ... ...
과학자들이 ‘에이리언’ 찾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5.19
그래픽 디자이너 스티브 그라이스의 도움을 받아 적색왜성계에 사는 생물의 모습을
유추
한 바 있다. 중심별의 빛이 약한 만큼 빛을 최대로 흡수하기 위해 피부가 투명하게 진화했으리라 추정했다. 고생물학자 브라이언 추 박사가 적생왜성계의 생물 모습을 상상해 그렸다. - Steve Grice 제공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