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군사
병사
베끼기
필사
등사
카피
뉴스
"
전사
"(으)로 총 52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DGIST, 두발로 걷는 물고기 미스터리 밝혀내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15
분석을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진은 작은고슴도치홍어와 사지동물 운동신경세포의
전사
체 비교 분석을 진행했고 운동신경세포에서 공통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및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를 발견했다. ■ KAIST는 노용만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물체를 검출하는 딥러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게 핵심 내용이다. 거울 세계 연구를 이끌고 있는 중국 서호대 주팅 교수팀은
전사
의 정확도가 높은 박테리오파지 T7의 RNA중합효소의 거울상을 화학적으로 합성했다. T7 RNA중합효소는 883개 아미노산으로 이뤄져 있는 큰 단백질이라 이 자체의 거울상을 합성할 수는 없어 연구자들은 효소의 ... ...
플라스틱 대체제도 신경독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8
비스페놀 F의 실제 농도(0.001~0.1mg/L)를 제브라피쉬에 28일간 노출한 뒤 행동학·대사체학·
전사
체학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환경 중 존재하는 미량의 비스페놀 F가 제브라피쉬의 혈액뇌관문(blood brain barrier·BBB)을 투과해 뇌조직에 축적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새로운 환경에 대한 ... ...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박테리아의 생존 전략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단백질이 항-크리스퍼 단백질 발현을 저해하는
전사
인자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전사
인자는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단백질을 말한다. Aca 단백질은 항-크리스퍼 유전자의 발현을 막아 크리스퍼-카스를 정상 작동시킨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박 교수팀은 Aca 단백질의 3차원 ... ...
곰팡이 조상 찾기 쉬워졌다…서울대 연구팀, 진균 분류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진균종을 비교해 계통을 파악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도 개발해 배포했다. 진균의 유전체,
전사
체, 단백질체 데이터를 넣으면 핵심 유전자를 빠르게 추출해 비교하고 여러 종의 계통학적 유사도를 파악할 수 있다. 스타이네거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에 공개된 핵심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 날개 패턴 만든 고대 유전자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10.23
생체 내 시스템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규명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DNA와 결합하는
전사
인자를 조절하는 ‘시스 조절 요소(CRE)’라는 부위에서 유전자 특성이 발현되거나 유전자가 발현되는 장소나 시기, 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생명체가 진화하면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단백질로 이뤄진 인공핵은 겉모습만 진핵세포의 핵과 비슷할 뿐 게놈 복제나 유전자
전사
같은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한다. 세포호흡을 담당할 미토콘드리아 대응 구조 역시 넣어준 대장균이 진짜 살아있는 세포이므로 반칙인 셈이다. 그럼에도 이렇게 만든 인공세포가 꽤 복잡한 구조를 안정하게 ... ...
AI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고도화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2
교수팀은 멀티오믹스 기반 약물 추천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멀티오믹스는 유전체와
전사
체, 단백체 등 여러 분자 수준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을 분석하는 것을 뜻한다. 서울대와 미디어젠,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 등과 함께 협력할 예정이다. 아론티어는 표적 단백질 변화 구조 예측, 모든 인체 ... ...
[과기원은 지금] 강진영 KAIST 교수팀, 단백질·RNA 유전자
전사
조절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활용해 RNA 합성효소의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단백질과 RNA의 유전자
전사
조절 원리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15일 공개됐다. ■권인찬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7일 이전 약물보다 체내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까지 재생할 수 있는 '이 생명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9.04
단위에서 파충류 '비어디 드래곤'과 포유류인 쥐의 뇌를 비교해 28만5483개의 단일 세포
전사
체에서 233개의 서로 다른 유형의 신경세포를 찾았다. 파충류와 포유류는 약 3억2000만 년 전 계통학적으로 분리됐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번 연구로 대부분의 핵심 신경세포를 공유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