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
알콜
알코올
본줄기
원줄기
본류
알코올 음료
뉴스
"
주류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평균보다 오래 살지만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하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OECD 평균 수준이었다. 흡연율은 2007년(24.0%)부터 10년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류
소비량 역시 2007년(9.3L)이래로 점차 감소해왔다. 그만큼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졌다고 볼 수 있다.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비만 인구는 OECD 국가들 중 두 번째로 낮았다. 하지만 과체중과 비만 ... ...
[주말N수학] 수학과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
2019.05.25
이유로 원하는 대학에서 직장 잡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성이라는 이유로 비
주류
기관에서만 연구를 이어갔다. 그러나 1980년대 초 비누막 문제를 해결하고 주목을 받으며, 마침내 1983년 시카고대학교 교수로 자리를 잡게 된다. 이후 1988년에는 정년을 보장받는 조건으로 텍사스대 오스틴캠퍼스 ... ...
[줌인사이언스]탈원전 비판하려는 황 대표는 왜 하필 핵융합연에 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아니냐는 비판을 받아온 것이다. 특히 국내 에너지 연구의
주류
인 원자력계의 냉소적 시각과 견제도 견뎌내야 했다. 그런 점에서 황 대표의 이번 핵융합연구소 발언은 좀 생뚱맞다. 만일 이 보도대로 황 대표가 탈원전 정책을 꼬집어 비판하려던 의도였다면 원자력 ... ...
[과학기자의 생생임신체험記] 찌릿찌릿 가슴 통증으로 임신 사실을 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배우자를 선택하는 기준이었다는 이론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 이론은 더 이상
주류
가 아니다. 미국 럿거스대의 인류학자 프랜시스 마시아-리즈는 여성의 유방이 자연선택으로 진화했다고 주장한다. 두꺼운 털이 없는 인류는 진화 초기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지방을 많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냉매 안 쓰는 냉장고·에어컨 시대 열리나
2019.04.02
디스플레이 전이의 과도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여전히 LCD(액정디스플레이)가
주류
이지만 OLED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TV도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필자는 지난 가을 큰 맘 먹고 OLED TV를 샀는데 색감이 풍부해(채도가 높고 명암비가 크다) 요즘 TV 보는 시간이 ... ...
UNIST 연구진, 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1
태양전지를 합친 것으로 이론상 최대효율은 87%에 육박한다. 현재 태양전지 시장의
주류
를 이루는 실리콘 태양전지 최대효율보다 약 3배가 높아 효율한계에 다다른 실리콘 태양전지의 문제를 해결해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최경진∙송명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 ...
바이오젠, 유력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두카누맙' 임상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약은 '아밀로이드베타'라는 뇌 속 노폐물을 표적으로 하던 가장 유력한 신약후보였기에, '
주류
'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방향을 재점검해야 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바이오젠은 이날 성명을 통해 “독립된 연구그룹이 검증한 결과, 최초에 의도했던 목표를 만족시키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음을 ... ...
'수학 노벨상' 아벨상 첫 여성 수상자에 '수학계 여성 롤모델' 울렌베커 교수
2019.03.20
받았었다. 미국 브랜다이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여성이라는 이유로 비
주류
기관에서만 연구를 이어가던 울렌베커 교수는 1980년대 초 비누거품 문제를 해결하고 주목을 받은 이후 1987년 텍사스대 교수로 임용됐고, 1990년에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서 58년 만에 여성 두 ... ...
[3·1운동 100주년]"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9.02.28
데다가 보통학교 교사로 당시 학계에서는 비
주류
에 해당했다”며 “그런 그가 일본
주류
학계의 틀린 점을 거침없이 지적하며 국제 사회와 당당히 교류하는 모습은 당시 우리 민족에게 큰 위안과 희망을 안겼다”고 말했다. 곤충의 근면성과 단결력 빗대 조선 계몽 역설 석주명 외에도 곤충을 ... ...
[3·1운동 100주년]일제강점기 조선인 과학자를 찾아서
2019.02.27
그때와 맞닿아 있다. 해방 이후 해외에서 어렵게 과학을 익힌 사람들이 한국 과학계의
주류
로 올라섰고, 이후 태동한 새로운 과학세대는 그들의 후학이다. 과학자들이 조직한 단체는 더 확대되고 다양해졌다. 그들의 과학 활동은 교육과 계몽을 넘어 연구로까지 확장돼 현재에 이르렀다. 무엇보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