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현법
뉴스
"
표현기법
"(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중력파에서 감자까지]중력파 발견 기념, 주말은 SF 영화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2.13
2016년 2월 11일은 역사적인 날로 기록이 될 거다.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101년 전에 예측했던 ‘중력파’가 공식적으로 확인된 날이기 때문이다. 대체 중력파가 뭐길래 이리도 난리들이냐, 라고 하면 어디서부터 설명해야 할지 막막해 진다. ● 노벨 물리학상이 상품으로 걸 ... ...
[동아쟁론]“폐암 주세요” 금연광고
동아일보
l
2015.12.11
[동아일보] 외국 비해 이 정도는 애교수준 vs ‘담배는 암’ 오해 부를 과장광고 《 보건복지부가 지난달부터 방영 중인 TV 금연광고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편의점에 들어온 손님이 담배를 사며 “후두암 1mg 주세요” “폐암 하나 주세요” “뇌졸중 두 갑 주세요”라고 말하는 대목 때문입니다. ... ...
태백산 광맥, ‘3D’ 모델링으로 찾는다
2015.12.09
오현주 지질자원연구원 선임연구원이 태백산 광화대 3D 지질모델을 시연하고 있다 - 염재윤 기자 dsjy@donga.com 제공 화면에 단층구조, 지층 등 지하 구조가 선명히 표현된 3D 그래픽이 나왔다. 2차원 지질도로는 확인할 수 없는 수백~수천m 지하의 모습이었다. 3D 지질모델을 시연한 오현주 한국지 ... ...
육질 좋은 ‘GM 한우’ 식탁에 오를 수 있을까
2015.12.02
위키미디어 제공 원하는 유전자를 편집하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유전자변형(GM) 동물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지난달 20일 GM 연어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판매 승인을 받으면서 기름을 부은 격이 됐다. 국내에서도 ‘육질 좋은 한우’ ‘지방 적은 돼지’ 등 유전자를 변형해 빨리 자라면서 ... ...
조성진의 클래식을 즐기는 과학적 팁!
2015.11.10
한국인 최초로 국제 쇼팽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한 피아니스트 조성진이 현지에서 카메라 세례를 받고 있다. - 국립쇼팽협회(NIFC), 포커스뉴스 제공 지난 10월 한국의 21살 청년 피아니스트 조성진 씨가 세계적인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을 했습니다. 순수 국내파인 조성진의 우승은 마치 김연아 선 ... ...
사회 문제 해결사, 산업수학이 뜬다
2015.10.23
22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대학민국 산업수학 주간’에서 그레임 웨이크 뉴질랜드 마세이대 명예교수는 “뉴질랜드 산업계는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자와 적극 협력하고 있다”며 “산업수학이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 가고 있다”고 말했다.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제공 #2013년 서울 ... ...
DNA로 용의자 얼굴 그린다
2015.09.11
DNA 정보에서 눈과 머리카락, 피부색 등 외형을 분석할 수 있는 DNA 표현형 분석 기술이 개발돼 미궁에 빠진 범죄 수사에 활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제공 최근 살인사건의 공소시효를 폐지하는 ‘태완이법(형사소송법 개정안)’이 발효되면서 미제 살인사건 273건이 재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고양이는 노란 눈으로 그녀를 똑바로 마주보았다. 노란 눈 한가운데 작고 새까만 막대가 수직으로 서 있었다. - 로알드 달, ‘정복왕 에드워드’에서 그림을 그리는 게 취미인 필자는 연초 양띠 해(을미년)를 맞아 양을 소재로 유화를 하나 그렸다. 그런데 양의 눈을 그리다가 뜻밖의 발견을 했다. ... ...
휘는 태양전지 값싸고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찾았다
2015.08.11
금속 나노결정에서 제조한 나노잉크를 발라 박막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을 표현한 그림. - KIST 제공 종잇장처럼 얇은 태양전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태양전지 상용화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도권 한국과학기술연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수학적 쿼크는 영원히 갇혀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지만 그런 특성을 통해서 우리가 볼 수 있는 현실적 입자들을 만들어낸다. - 머리 겔만 필자는 책의 장르 가운데 전기를 즐겨 읽는데 10여 년 전 물리학자 머리 겔만(Murray Gell-Mann)의 전기 ‘스트레인지 뷰티’를 읽을 때 깊은 인상을 받은 기억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