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내성"(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400kg까지 자라는 생선이다. 이번에 개발된 대왕자바리는 성장이 빠르고 수온 변화에 내성이 높았다. 이에 따라 한국을 비롯한 온대 바다에서도 생산성 높은 양식이 가능해짐에 따라 중화권을 중심으로 높은 수출 실적이 기대된다. 이번에 개발된 바리과 종자들이 대만에 수출을 앞두고 선적을 ...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2015.11.02
- 천적이 되는 파지를 찾는 게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물론 박테리아가 변이를 일으켜 내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파지도 그에 맞춰 변이를 일으킬 수 있고 또 여러 종류를 쓰는 파지칵테일요법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파지의 숙주 특이성을 꼽을 수 있다. 파지는 특정 균주에만 감염할 수 있기 때문에 ...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2015.10.06
-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현재 아르테미시닌은 너무나 소중한 약물이기 때문에 이 약물에 내성을 갖는 말라리아 원충이 나오는 걸 막기 위해 단독으로 쓰지 않고 다른 약과 섞어 쓰고 있다. 이를 ‘아르테미신 기반 조합 요법’이라고 부른다. ...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2015.08.24
- 쓰고 있다. 아직까지 백신이 개발되지 않고 그나마 있는 몇 가지 안 되는 약도 내성 말라리아 등장으로 잘 안 듣는 상황에서 아르테미시닌은 소중한 약이지만, 말라리아가 창궐하는 가난한 나라 사람들이 쓰기에는 비싼 약이다. 아르테미신은 탄소 15개로 이뤄진(이를 세스퀴터펜이라고 부른다) ...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2015.08.17
- 얻었지만 효모의 본질적인 특성을 만들어낸 것은 아니다. 즉 에탄올 생산 효율을 높이고 내성(에탄올 농도가 올라가면 효모도 죽는다)을 키우기는 했지만 에탄올을 만드는 능력 자체는 1억여 년 전 효모가 획득한 것으로 추정된다. 에탄올은 다른 미생물을 죽이는 강력한 살균제다. 그러나 효모가 ... ...
- 겨울철 식중독 단골 바이러스, 1시간 만에 검출2014.12.26
- 연구원은 “지금까지는 세균을 배양하기 전에는 세균이 어떤 종류인지, 어떤 항생제에 내성을 갖고 있는지 알 수 없었다”면서 “환자의 피나 소변을 채취한 뒤 ‘보디가드 단백질’을 표지 단백질(바이오마커)로 사용해 30분 만에 아시네토박터균의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과학자의 성공, 행복하고 정상적인 삶에 있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0.29
- 핀란드의 한 연구진이 내성균주은행에 세균을 받으러 방한하겠다고 연락해 왔다. 한국 내성균주은행의 세균을 활용해 발표된 논문을 보고 아무런 스스럼없이 한국의 세균을 분양받아야겠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연구소재 분야에는 국경의 한계는 없습니다. 다만 가장 잘 관리하는 나라의 것을 ... ...
- 촉매 하에 레고처럼 결합시켜 신약 개발한다IBS l2014.07.09
- 위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강력한 수단은 바로 유기합성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약물 내성을 일으키는 돌연변이를 신속하게 따라잡으려면, '레고 화학'과 같은 혁신적인 유기화학 반응으로, 원하는 화합물의 골격을 원하는 곳에 선택적으로 붙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 합니다." 자연의 ... ...
- [Keyword로 읽는 과학] 더 큰 자극에만 반응하는 ‘팝콘 브레인’KISTI l2014.05.26
- ‘2013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을 과도하게 사용해서 금단 현상, 내성, 일상생활 장애 등의 증상을 보이는 중독 위험군이 10~19세의 25.5%에 달한다. 2012년에는 중독 위험군이 18.4%였던 것에 비해 1년 만에 7% 이상 높아진 수치다. 팝콘 브레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 ...
- 영화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진실은 어디까지?동아사이언스 l2014.03.13
-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투여량이 줄어들었다. 사실 부작용도 부작용이지만 바이러스 내성이 더 큰 문제였다. AZT는 염기 티민(T) 유사체로, 바이러스가 RNA게놈을 주형으로 DNA를 합성할 때 티민으로 착각해 쓰게 해 합성에 실패하게 만드는 약물이다. 그런데 AZT와 티민을 구분할 수 있는 변이 ... ...
이전101112131415 다음